이재명 대통령이 15일 국내 게임사 크래프톤의 게임 문화 플랫폼 서울 성동구 '펍지 성수'에서 열린 K-게임 현장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통신사진기자단)
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처음으로 주요 게임사 및 협·단체 대표들과 간담회를 갖고 새 정부의 게임산업 육성 전략과 규제 개선 방향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은 15일 오전 서울 성동구 성수동 크래프톤 복합문화공간 ‘펍지 성수’에서 ‘K-게임 현장 간담회’를 열고 업계 현황과 주요 현안을 청취했다. 대통령이 국내 주요 게임사 대표들을 직접 초청해 의견을 들은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김정욱 넥슨코리아 공동대표, 김창한 크래프톤 대표, 방준혁 넷마블 의장, 김택진 엔씨소프트 공동대표, 성준호 스마일게이트 대표, 배태근 네오위즈 대표 등 국내 대표 게임사 경영진이 참석했다. 이 밖에도 게임음악 작곡가 이실운, 김소연 갤럭틱엔터테인먼트 대표, 김영웅 슈퍼래빗게임즈 대표, 유승현 원더포션 대표, 장누리 유닉온 대표 등이 자리했으며, 프로게이머 노태영(이엔드) 선수와 게임인재원 학생들도 함께했다. 정부 측에서는 최휘영 문화체육관광부 장관, 강훈식 비서실장, 김용범 정책실장 등이 동행했다.
이 대통령은 간담회에 앞서 ‘펍지 성수’ 전시 공간을 둘러보며 게임 굿즈를 관람하고, 신작 게임을 직접 시연했다. 체험 과정에서 “수익 모델은 어떻게 구성되느냐”, “다른 사용자의 세계로 진입할 수 있느냐” 등의 질문을 던지며 게임산업의 구조에 깊은 관심을 보였다.
간담회 모두발언에서 이 대통령은 “게임산업은 더 이상 억압의 대상이 아니라 문화의 중심이 되어야 한다”며 “자원이 부족한 나라에서 게임은 부가가치가 높은 대표 수출 산업으로 육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문제가 있다고 산업 자체를 억압하거나 포기할 게 아니라, 문제를 해결하면서 발전 방향을 찾아야 한다”며 규제 중심의 정책 기조를 육성 중심으로 전환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또한 “게임은 단순한 오락이 아니라 한국이 문화강국으로 성장하기 위한 기반 산업”이라며 “정책 방향을 새롭게 정립해 대한민국을 세계적인 문화산업 국가로 만들겠다”고 말했다. 이어 “게임의 본질은 재미와 몰입이며, 과몰입은 제도적으로 해결할 문제이지 산업 자체를 억제할 사안이 아니다”라고 덧붙였다.
이재명 대통령은 이날 간담회를 통해 게임을 국가 전략산업으로 명확히 규정하고, 정부 차원의 정책 지원과 제도 개선을 적극 추진하겠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