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장관 조명래)․한국환경산업기술원(원장 남광희)․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원장 이승우)․한국생활안전연합(공동대표 윤명오·김태윤·윤선화)은 공기청정기 및 마스크의 안전성․성능에 대한 공동조사 결과를 8월 7일 발표하였다.
이번 조사는 최근 국내 고농도 미세먼지에 대한 우려로 공기청정기 및 마스크 구매가 늘어남에 따라 국내 소비자가 많이 사용하는 국내외 제품(공기청정기 35개, 마스크 50개)에 대한 안전성과 성능을 점검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공기청정기에서는 화재·감전 위험 등의 전기적 안전성(국가기술표준원), 미세먼지 제거능력 등의 성능(한국생활안전연합), 공기청정기 필터에서 유해물질(CMIT, MIT, OIT)*의 함유량 및 방출량(환경부,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을 조사 하였고,
* CMIT(5-클로로-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MIT(2-메틸-4-이소티아졸린-3-온), OIT(2-옥틸-3(2H)-이소티아졸론)
마스크에서는 유해물질(아릴아민, 폼알데하이드) 함유량을 조사(국가기술표준원)하였다.
| < </span>조사 개요 > | | ||||||||||||
| | |||||||||||||
■ 조사 기간 : 2019. 3. 15. ~ 7. 31. ■ 조사 대상 : 공기청정기 35개(가정용 30개, 차량용 5개) 마스크 50개(어린이용 27개, 성인용 23개) ■ 조사 내용
|
≪ 조사 결과 ≫
1. 공기청정기
(전기적 안전성) 공기청정기의 온도상승 시험을 통한 화재 발생 가능성, 감전사고 예방조치 여부, 오존발생으로 인한 오존농도 기준치(0.05ppm) 초과 여부 등을 조사한 결과,
조사대상인 가정용 공기청정기 30개 모델과 차량용 공기청정기 5개 모델 모두가 안전기준에 적합하였다.
(성능) 대부분의 모델이 미세먼지 및 유해가스 제거능력, 소음도 등의 성능 기준치를 만족하였으나,
일부 모델에서 유해가스 제거능력과 소음도를 만족하지 못하거나, 미세먼지 제거능력이 표시성능(사용면적)에 미치지 못하는 경우도 조사되었다.
| < </span>공기청정기 성능조사 개요 > | |
| | |
‣<</span>미세먼지 제거능력> 표시성능(사용면적) 대비 90%이상 제거 능력 발휘 여부 * 시험대상 미세먼지 : 0.3㎛ 입자로 크기가 초미세먼지(PM2.5)의 1/8배 수준 ‣<</span>유해가스 제거능력> 5대 가스 평균 제거율의 CA인증기준(70% 이상) 충족 여부 * 5대 가스 : 암모니아, 아세트알데하이드, 아세트산, 폼알데하이드, 톨루엔 ‣<</span>소음도> 공기청정기 동작 시 발생하는 소음의 CA인증기준 충족 여부 * CA인증기준 : 미세먼지 제거능력에 따라 허용 소음범위(45~55dB)를 차등 적용(붙임1 참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