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온실가스종합정보센터(센터장 홍동곤)는 ‘국가 온실가스 통계관리위원회(위원장 박천규 환경부 차관)’ 심의를 거쳐 2017년도 국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전년 6억 9,257만 톤에서 1,657만 톤(2.4%↑) 증가한 7억 914만 톤CO2eq.으로 확정했다고 밝혔다.
* 톤CO2eq.: 메탄, 아산화질소, 불소가스 등의 온실가스를 이산화탄소로 환산한 배출량 단위(‘이산화탄소 환산톤’ 또는 ‘톤’으로 읽음)
전년 대비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1,657만 톤↑)는 주로 전기‧열생산(860만 톤↑, 3.5%↑), 철강(610만 톤↑, 6.5%↑), 불소계 온실가스(310만 톤↑, 20.6%↑)에서 발생했다.
< </span>배출량 증가 원인 >
전기‧열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 증가*(860만 톤↑)는 석탄(1,260만 톤↑) 및 가스(110만 톤↑) 부문의 증가가 원인이며(석유부문은 520만 톤 감소↓),
* 유엔 분류체계에 따라 ‘에너지’ 분야의 전기‧열생산 부문 배출량 증가량을 의미
석탄의 온실가스 배출이 증가한 이유는 현 정부에서 추진한 노후석탄 조기폐지정책에 따라 2017년 일부설비가 폐지1)되었음에도 불구하고 이전 정부에서 허가받았던 설비가 신규 설치2)된 것이 주요원인으로 분석된다.
1) 폐지‧전환 3기 525MW(서천 1‧2호기 400MW, 영동 1호기 125MW*)
* 영동 1호기는 석탄을 바이오연료(신재생 에너지)로 전환
2) 신설 6기 5,114MW(북평 1‧2호기 1,190MW, 신보령 1‧2호기 1,852MW, 삼척그린 2호기 1,022MW, 태안 10호기 1,050MW) (자료 : 2017년 한국전력통계)
< </span>참고 : 현 정부 석탄발전 감축 노력(‘17년말 기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