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바닷속 미지의 이끼벌레, 도감으로 발간 - 국립생물자원관, ‘한국의 태형동물(순구목)’ 도감 발간 - 준전문가도 동정 가능하도록 상세한 형태 정보와 사진 등 담아 김흥식 본부장=환경부
  • 기사등록 2020-01-30 13:07:00
기사수정


▲ ‘한국의 태형동물(순구목) 도감’ 표지


경부 소속 국립생물자원관(관장 배연재)우석대 생명과학과 소속 서지은 교수팀과 함께 한반도에 서식하는 태형동물 중 순구목 130종의 정보가 담긴 한국의 태형동물(순구목)’ 도감을 발간했다고 밝혔다.

 

태형동물은 이끼벌레라고도 하며, 1mm 안팎의 작은 크기로 촉수를 이용해 바위, 조개껍질 등 다양한 곳에 붙어서 무리를 지어 산다. 일부 종을 제외하고는 모두 바다에 살며, 전 세계적으로 1만 종, 우리나라에는 210종이 보고되어 있다.

 

이 중 나후강에 속하는 순구목은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태형동물 중 가장 많은 종이 포함된 분류군으로 대부분 바다에 서식하며, 개충이 연쇄적으로 추가 딸개충을 형성하여 석회성 골격을 가진 군체를 형성한다.


개충: 군체를 구성하는 개체

딸개충: 부모개충에서 발아하여 새롭게 형성된 개충

 

이번 도감은 과거 우리나라에 서식하는 것으로 보고된 종에 대한 분류학적 재검토를 거친 76종과 미개척 무척추동물 조사·발굴 연구사업에서 발굴된 54종을 종합하여 총 4685130종을 수록했다.

 

새롭게 추가된 백령짧은자루조두체이끼벌레 등 신종 20종과 해시벽난로이끼벌레 등 미기록종 34종은 201610월부터 2018 5월까지 분류학계의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주택사(Zootaxa)와 국립생물자원관 학술지인 저널 오브 스피시즈 리서치(Journal of Species Research) 5편에 게재하여 학술적 검증을 이미 완료했다.

 

주요 내용으로는 태형동물의 형태와 국내 분포, 생태적 특성에 관한 정보를 담았으며, 특히 생태 사진과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을 수록하여 실제 관련 연구자들의 동정에 참고할 수 있도록 했다.


주사전자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e): 전자선을 시료에 주사하여 반사되는 표면의 정보를 얻는 현미경, 최대 100만 배의 고배율 이미지 측정 가능


동정: 야생생물에 대해 분류학상의 위치나 명칭을 바르게 확인하는 작업


정확한 종을 동정하는데 필요한 정보제공을 위해, 용어설명, 군체의 다양한 형태, 개충의 주요형태와 각 부분의 명칭을 사진과 함께 쉽게 설명했고, 종별로 자세한 형태를 기술한 기재문을 실었다.

 

특히, 주사전자현미경 사진은 100~300배로 확대된 개충의 모양과 가시 등 특징이 잘 나타나도록 촬영하여, 준전문가도 해부현미경을 사용해 종동정이 가능한 수준으로 제작했다.

 

그동안 태형동물의 형태가 산호, 히드라, 해조류를 닮아 동정이 어려웠으나 이번 도감에는 동정이 가능한 많은 종을 포함하고 있어 생물다양성 연구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태형동물은 바닥에 고착하여 군체가 성장해 산호류 등처럼 서식지를 점유하는 대표적인 분류군으로서 서식지의 훼손과 회복, 종다양성 연구에 중요한 분류군이다.

 

배연재 국립생물자원관장은 이번 도감 발간으로 그간 잘 알려지지 않았던 태형동물의 연구가 한층 쉬워져, 생물다양성 보전을 위한 조사와 평가에 크게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밝혔다.

 

한국의 태형동물(순구목) 도감 이달 말부터 국내외 주요 도서관, 연구기관, 관계 행정기관 에 배포될 예정이며, 그림파일(PDF) 형태로 국립생물자원관 누리집(www.nibr.go.kr)131일에 공개된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1426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군산지역연합회 제47대 부총재 이·취임식 개최
  •  기사 이미지 아산경찰서, 어린이가 먼저인 안심 등굣길 교통안전 캠페인 실시
  •  기사 이미지 QS(Quacquarelli Symonds), 서울대 31위,KAIST 53위,성균관대 123위,한양대 162위,서강대 576...'2024 세계대학평가'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