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파르게 증가하던 해외 직구 증가세가 금년에는 다소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관세청이 분석한 올 상반기 해외직구물품 수입현황에 따르면, 수입규모는 791만 건에 7억 7천만 불 규모로 전년 746만 건 7억 2천만 불보다 건수로는 6%, 금액으로는 7% 증가한 수준으로, 그동안 가파르게 치솟던 증가세가 올해 다소 주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0년 이후 매년 건수 약 44%, 금액 약 54%로 급증하던 것에 비해 크게 감소한 것으로, 최근 지속되는 경기 불황과 해외직구 증가에 따른 국내가격 인하, 환율상승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국가별로는 미국(75%)이 여전히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고, 환율이 상승한 중국(5%)과 홍콩(3%)에서의 반입은 감소한 반면, 환율이 하락한 유럽(11%)과 일본(5%)에서의 반입은 증가하여 중국·홍콩에서의 구매 수요가 유럽·일본으로 이동한 것으로 보인다.
품목별로는 의류(16%)와 건강식품*(16%)이 가장 많이 수입되었고, 그밖에는 분유·커피·캔디 등 기타식품(15%), 화장품(13%), 신발(11%), 전자제품(5%), 완구인형(4%), 핸드백,가방(4%), 시계(1%), 서적류(1%) 순으로 이들 품목이 전체의 약 86%를 차지했다.
한편, 메르스 발병과 관련하여 월 11건 정도 반입되어 온 손소독제는 지난 6월에만 약 3천 건이 수입되기도 했다.
관세청은 간이한 통관절차가 적용되는 해외직구를 악용한 마약류 등 불법물품의 반입을 차단하기 위해 전량 엑스레이(X-ray) 검사를 실시하고, 배송지 분석 및 통관전후 심사 강화 등 감시단속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갈 방침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