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환경부와 중국 생태환경부는 양국의 미세먼지 대응 상황과 지속적인 협력계획 등을 2월 10일 오전 합동으로 공개했다.
이번 합동공개는 지난해 11월 13일 개최된 ‘한중 계절관리제 교류회의’에서 처음 논의된 이후 약 3개월간 준비과정을 밟아 마련됐다.
한국의 2020년 전국 초미세먼지 농도는 19㎍/㎥로 전국 초미세먼지 관측을 시작한 2015년 26㎍/㎥보다 약 26.9%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2020년 전국의 초미세먼지 나쁨이상(36㎍/㎥ 이상)일수는 총 27일로 2015년 62일 대비 약 56% 감소했으며, 좋음(15㎍/㎥ 이하)일수는 154일로 관측 이래 청명한 날이 가장 많았던 한 해로 분석됐다.
【한국의 초미세먼지(PM2.5) 연평균 농도 현황(단위:㎍/㎥)】
구분 | ’15년 | ’16년 | ’17년 | ’18년 | ’19년 | ’20년 |
전국 평균 | 26 | 26 | 25 | 23 | 23 | 19 |
중국의 2020년 337개 도시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는 33㎍/㎥로 전년 (36㎍/㎥) 대비 8.3%감소, 2015년(46㎍/㎥) 대비 28.3% 감소했다.
2020년 중국 337개 도시 평균 우량일수(초미세먼지 75㎍/㎥ 이하) 비율은 87.0%로 전년 대비 5.0%p 증가, 2015년 대비 5.8%p 증가했다.
한국은 현 정부 들어 ’미세먼지 관리 종합대책(2017년 9월 수립)‘, ’비상·상시 미세먼지 관리 강화대책(2018년 11월 수립)‘, ’미세먼지 관리 종합계획(2020~2024년, 2019년 11월 수립)‘ 등을 추진하여 △대형 사업장 배출량, △석탄화력 발전소 배출량, △배출가스 5등급 차량 감소 등에서 대표적인 성과를 냈다.
먼저, 굴뚝원격감시체계(TMS)가 부착된 전체 635개 대형사업장의 2020년 12월 초미세먼지 관련 대기오염물질* 배출 총량은 13,518톤으로 2018년 12월 19,894톤 대비 약 32%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총먼지(TSP),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이러한 배출량 감소는 정부의 배출허용기준 강화 등 규제강화와 함께 대형사업장의 선제적이고, 자발적인 대기오염물질 배출감축 참여가 이뤄낸 결과이다.
다음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배출감소도 두드러졌다.
전국 석탄화력 발전소 60기(’21년 현재 58기)의 2020년 12월 초미세먼지 관련 대기오염물질* 배출 총량은 3,527톤으로 2018년 12월 8,781톤 대비 약 60%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 총먼지(TSP), 황산화물(SOx), 질소산화물(NOx)
이러한 배출량 감소는 노후 석탄화력발전소 조기폐지, 대기오염방지시설 개선, 봄철 및 계절관리기간 가동정지와 상한제약 등 정부의 적극적인 석탄발전 감축 대책의 결과이다.
아울러, 배출가스 5등급 차량(주로 노후경유차)도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다.
2020년 12월말 기준 저공해조치(매연저감장치 부착 등)를 하지 않은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은 약 134.7만대로, 20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