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문화재청, 5대 궁궐 현판 소개하는 조선왕실의 현판Ⅰ 발간 조기환
  • 기사등록 2021-03-04 11:08:40
기사수정


<국립고궁박물관 소장품도록 『조선왕실의 현판Ⅰ』>


문화재청 국립고궁박물관(관장 김동영)은 조선 시대 궁궐에 걸렸던 현판들에 대한 조사 결과를 수록한 「조선왕실의 현판Ⅰ」을 발간했다.


「조선왕실의 현판Ⅰ」에는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경복궁 현판 184점, 창덕궁 현판 91점, 창경궁 현판 44점, 경희궁 현판 41점, 덕수궁 현판 25점과 참고도판(13점) 등을 권역별로 세분화해 조사했으며, 현판이 본래 걸려 있었던 건물을 추적한 결과도 같이 수록하였다.


현판(懸板)은 여러 전각과 당(堂), 문(門), 루(樓) 등의 건물에 걸었던 나무판으로, 왕이 내린 지침이나 좋은 글귀, 시(詩), 명구(名句) 등을 양각(陽刻) 또는 음각(陰刻) 등으로 새긴 것이다.


참고로,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 770점은 지난 2018년에 ‘조선왕조 궁중현판’이라는 이름으로 ‘유네스코(UNESCO) 세계기록유산(Memory of the World) 아시아태평양 지역목록’에 등재되어 세계적으로 그 가치를 인정받은 바 있다.


  국립고궁박물관 소장 현판은 대부분 일제강점기 궁궐의 여러 전각이 훼철되면서 철거되어 별도로 모아 관리되었던 것으로, 원래 걸었던 전각의 위치 파악에 어려움이 있었다. 도록에서는 현판 뒷면에 원래 걸렸던 위치가 적혀 있는 묵서(墨書)와 <경복궁배치도>, <북궐도형>, <동궐도>, <서궐도안> 등의 도면과 회화, 유리건판, 사진 등의 시각자료를 비교하여 본래 현판이 걸려 있었던 궁궐과 건물을 추적하였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이번에 발간한 책자에는 이러한 결과를 궁궐별로 도면에 표시하여 현판의 게시 장소를 명확히 하였고, 현판에 담긴 다양한 내용을 풀이하여 종합적으로 소개해 국민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소개한 최초의 책자다.


국립고궁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궁궐 현판 중에서 시기가 확인되는 가장 오래된 것은 창덕궁 홍문관에 걸었던 것으로 추정되는 1652년(효종 3) 이정영(李正英, 1616~1686년)이 쓴 ‘옥당 현판’이며, 가장 늦은 시기에 제작된 것은 1904년(광무 6) 덕수궁 화재 이후 제작된 20세기 초 덕수궁에 걸었던 현판들이다.


조선 시대 궁궐은 국가 운영의 공간이자 왕실의 생활 터전으로 유교 통치 이념과 오행사상, 풍수지리를 반영하여 세워졌다. 궁궐의 여러 전각과 당(堂), 문(門), 루(樓) 등의 건물에는 그 성격과 기능에 따라 좋은 글귀를 따서 이름을 짓고 현판으로 만들어 걸어 간판과 같은 역할을 하였다. 그 밖에도 현판에는 국왕의 선현에 대한 추모, 신하들이나 후손들에게 내린 지침이나 감회를 읊은 시를 비롯하여 조선의 국가 이념과 왕실에서 추구했던 가치관이 담긴 글이 함축적으로 표현되어 있다.


더불어 현판은 선조, 숙종, 영조, 정조, 고종 등 왕이 쓴 글씨와 당대 최고 명필가의 글씨를 받아 장인들이 정교하게 새겼고, 화려한 문양과 조각으로 장식하였다. 특히 왕과 왕세자의 글과 글씨는 120여 점에 달하는데, 그중 영조는 오랜 재위 만큼 50점에 달하는 가장 많은 어제(御製, 왕이 지은 글)와 어필(御筆, 왕이 쓴 글씨) 현판을 남긴 왕이기도 하다. 어필과 예필 현판은 작은 글씨로 어필, 예필(睿筆. 왕세자가 쓴 글씨)이라고 새겨 존귀한 글씨임을 나타내었고, 봉황, 칠보, 꽃문양 등을 섬세하게 그린 테두리를 둘러 격을 높였다. 또한, 사롱(紗籠)이라는 직물로 덮거나 여닫이 문을 달아 왕의 글과 글씨로 된 현판을 보호하기도 했다. 이처럼 현판은 건축과 서예, 공예가 접목된 기록물이자 종합 예술이라 할 수 있다.


한편 국립고궁박물관은 올해 종묘, 능원묘(陵園墓), 수원 화성 등에 걸었던 현판도 중점적으로 조사 연구하고, 안료 분석 자료, 사롱 분석 결과 등을 수록한『조선왕실의 현판Ⅱ』를 12월 발간하여 더 많은 현판을 더 폭넓게 국민에게 선보일 계획이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5143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꼭 기억할게"…안산서 세월호 참사 10주기 기억식
  •  기사 이미지 일 외교청서 “독도는 일본 땅"
  •  기사 이미지 조국, 김해 봉하마을을 찾아 참배...문 전 대통령도 예방
리조트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