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물분야 탄소중립 박차, 한강홍통 수열에너지 시설 준공 - 한강홍수통제소에 수열에너지 시설 준공, 정부차원 최초 도입 - 연간 냉·난방용량 200냉동톤 중 절반을 대체, 이산화탄소 85톤 저감 김흥식 본부장[환경부=세종]
  • 기사등록 2021-04-30 14:31:09
기사수정



환경부(장관 한정애)는 친환경 에너지 도입 활성화를 위한 사업 중 하나로 2020년부터 추진한 한강홍수통제소(서울 서초구 소재)의 수열에너지 시설 도입 준공식을 430일 오후에 개최했다.

 

이날 준공식에는 홍정기 환경부 차관 비롯해 수열에너지 시설 개발사 대표*들이 참석했다

 

* 박종인 맥엔드엠이씨 사장, 유경하 서전엔지니어링() 사장, 조태목 삼삼설비 사장 등

 

이번 한강홍수통제소의 수열에너지 시설 도입은 정부 차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3곳의 시범사업 중 처음 완료한 것으로 연간 냉·난방용량 200냉동톤(RT, Refrigeration Ton) 100냉동톤(50%)이 수열에너지로 대체된다.

 

1냉동톤(RT) : 0도의 물 1톤을 24시간 동안 0도의 얼음으로 만드는데 필요한 에너지의 양으로 원룸(28, 8) 에어컨 1대를 1시간 동안 가동할 수 있는 에너지 양

 

3곳의 수열에너지 시범사업은 이번 한강홍수통제소(광역원수 활용), 한강물환경연구소(북한강 활용), 인천 종합환경연구단지(아라천 활용)이며, 지난해 6월 국무회의에서 수립한 친환경 수열에너지 활성화 후속 조치에 따라 추진되는 것이다.

 

번 한강홍수통제소 준공을 시작으로 한강물환경연구소(20216), 인천 종합환경연구단지(2022)가 순차적으로 준공될 예정이다.

 

3곳의 시범사업이 완료되면 총 2,160냉동톤의 수열에너지가 도입되며, 이는 1시간 동안 선풍기 22만대를 운영할 수 있는 규모이다. 아울러 이산화탄소 1,841톤을 감축하는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환경부는 수열에너지 도입 활성화를 위해 소양강댐 용수를 활용한 강원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 조성도 추진하고 있다.

 

강원 수열에너지 융복합 클러스터는 환경부, 강원도, 한국수자원공사가 2027년까지 3,027억 원을 투자하여 수열에너지 16,500냉동톤을 도입하는 것으로 이는 현재 국내 최대규모인 롯데월드타워(3,000냉동톤)5배가 넘는 규모이다.

 

특히, 이곳의 클러스터에는 정보통신(IT) 산업의 발달과 함께 급성장하고 있는 데이터센터 집적단지를 조성할 예정으로 전력소모가 심한 데이터센터의 ·난방 전기사용량 약 70%를 절약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 국내 데이터센터는 200053개에서 2019 158개로 연 5.9%의 성장세 지속

 

홍정기 차관은 환경부는 수열에너지 확산을 위해 물이용부담금 면제, 하천수 사용료 현실화 등 제도적 노력을 지속해왔다라며, 이번 한강홍수통제소 수열시설 도입을 계기로 물 분야 탄소중립에 박차를 가할 것으로, 이를 위해 내년부터는 민간 영역의 수열에너지 도입사업 추진 등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예정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5636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