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양구서 발굴 6.25 전사자 유해 신원 확인..백석산 전투 참전 김민수
  • 기사등록 2021-05-14 09:22:56
기사수정



강원 양구에서 2017년 발굴한 6·25 전사자 2분의 유해 신원을 확인됐다.


국방부 유해발굴감식단(이하 국유단)에 따르면 지금까지 6・25 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신원이 확인된 전사자는 2000년 4월 이후 총 164분이고, 2021년도에 7분의 신원이 확인되됐다.


고인들의 유해는 유가족들의 유전자 시료가 있었기에 신원이 확인될 수 있었다.


유가족 유전자 채취는 고 윤덕용 일병님의 유가족은 국유단 탐문관이 자택 방문을 통해, 고 강성기 일병님의 유가족은 인근 보건소 직접 방문에 의해 이루어졌다.


고인들은 1950년에 6․25전쟁에 참전하여 백석산 전투(1951.8.18.∼10.1.)중에 전사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당시, 백석산 지역은 6·25전쟁 기간 중 치열한 고지전이 전개었던 대표적인 동부지역의 전략적 요충지다.


이 지역은 2000년도부터 발굴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 현재까지 500여 구 이상의 유해가 발굴되었고, 이 중 14분의 신원이 확인되는 등 단일 전투지역으로는 가장 많은 성과가 있는 곳이다.


이에따라, 국유단은 이 지역 발굴 유해의 신원확인율을 더욱 높이기 위해 백석산 전투 전사자의 유가족에 대한 유전자 시료를 확보하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고 윤덕용 일병은 1924년 9월 19일 경기도 파주시 와석면에서 4남 3녀 중 셋째로 태어났다.

고인은 결혼 후 자녀가 생기기를 간절히 소망했고, 5년 만에 귀한 아들이 태어났지만 그 기쁨을 누리지 못한 채 1950년 6·25전쟁 발발로 2개월 된 아들과 사랑하는 아내를 남겨 둔 채 참전했다.


고인의 아들 윤원덕(73) 은 “아버지를 뵌 적은 없지만 항상 존경하고 이 땅에 생명을 주신 것에 감사하다며  더불어, 국가 차원에서 아버지를 찾을 수 있도록 이렇게 신경 써주셔서 고맙게 생각합니다.”고 말했다.


고 강성기 일병은 1933년 12월 23일, 제주시 한림읍 귀덕리에서 4남 2녀 중 차남으로 태어났다.


고인은 초등학교를 졸업한 후 바로 어부로 생활하며 생계를 꾸려갔던 중 국가의 안위를 위해 참전했다.


국유단은 유가족과 협의를 거쳐 신원확인 결과를 알려드리는 '호국의 영웅 귀환행사'를 이달 말에 거행 후 국립현충원에 안장할 예정이다.


국방부는 6·25전사자 유해발굴사업을 통해 「국민과 함께, 국가에 대한 헌신에 끝까지 보답」하는데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15738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월명호수, 모든 시민의 힐링 명소로 재탄생하
  •  기사 이미지 예산군청소년수련관, 예산군어린이급식관리지원센터 우수급식소 선정
  •  기사 이미지 예산군, 임업 산림 공익기능증진 임업인 교육 실시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