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에서의 자가격리, 1인 가정의 외로움, 요양병원에서 만나지 못하는 가족들에 대한 그리움 등 코로나19 상황의 현실을 소재로 한 작품들이 관객들을 만난다.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예술위원회는 '코로나19, 예술로 기록' 사업을 통해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해 고통받고 있는 예술인들의 작품활동 지원에 나선다고 4일 밝혔다.
코로나19로 인해 변화된 우리의 일상적·사회적 상황을 예술가들의 창의적 시선으로 포착해 다양한 예술적 표현양식으로 기록, 그 결과를 공유하는 사업이다. 총 45억원 규모로 예술인들의 창작 활동과 아카이빙을 지원한다.
지난해 9~10월 진행된 공모에는 문학, 시각예술, 공연예술 등 3개 분야에서 총 3228건이 접수됐다. 이중 전문가 심사를 통해 적합성, 창의성, 구체성, 가치성 등을 평가, 최종 976건의 작품을 선정했다.
코로나19로 변화된 일상을 기록하는 형태의 작품이 78.4%인 765건이었으며, 창작 작품은 21.6%인 211건을 기록했다.
연령별 선정 현황에서는 30대가 28.1%인 274건을 기록해 가장 큰 선정 비율을 보였다. 여기에 40대 200건, 50대 215건 그리고 60대와 70대도 각각 155건과 40건을 기록할 정도로 다양한 연령대에서 이번 사업에 관심을 가졌다.
예술위 관계자는 "코로나19로 어려운 이 시기에 늦게나마 창작과 기록 활동에 대한 지원금이 지급될 수 있어 다행"이라며 "문화 예술뿐 아니라 가정, 여가, 방역 의료, 지역 사회 등 우리 주변의 다양한 주제들이 다뤄졌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