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국내 도심 및 주요 대기오염 집중 지역의 대기오염물질 분포를 파악하기 위해 독일 막스프랑크 연구소 등 국내외 23개 연구팀과 공동으로 대기질 국제공동조사에 나선다고 밝혔다.
이번 조사는 2024년에 미국항공우주국과 공동으로 추진 예정인 ‘제2차 대기질 국제공동조사(SIJAQ 2024)’ 수행을 위한 1단계 조사다.
앞서 국립환경과학원은 2016년 5∼6월 미 항공우주국과 제1차 대기질 국제공동조사를 수행한 바 있다.
국립환경과학원은 이번 조사에서 차량, 항공, 위성 등을 이용하여 국내 대기오염물질 배출특성을 입체적으로 조사하고 생성과정을 종합적으로 분석할 예정이다.
이를 통해 실효성 있는 초미세먼지 및 오존 오염 관리 대책을 마련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환경위성(천리안위성 2B호)을 검증한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국내 초미세먼지 및 오존 전구물질의 농도 현황과 다양한 배출원별 특성을 파악하고 초미세먼지 및 오존 발생에 대한 휘발성유기화합물질의 기여도를 분석한다.
또 지상관측소, 차량, 항공기 및 존데 등을 이용하여 측정된 대기오염물질의 분포와 환경위성 관측자료를 비교․분석하고, 이를 통해 에어로졸, 이산화질소, 포름알데히드, 이산화황, 오존 등 환경위성에서 산출한 농도 정보의 신뢰성도 개선한다.
정은해 국립환경과학원 기후대기연구부장은 “이번 대기질 국제공동 조사를 통해 한반도 대기오염물질의 생성 및 이동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초미세먼지 및 오존 관리 대책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방향을 제시할 예정”이라며, “우리나라 환경위성 자료의 국제적인 신뢰도를 확보하여 아시아 대기환경 개선에 도움을 주고, 동북아 환경협력을 주도할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