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산하 국립생태원(원장 조도순)은 멸종위기 야생생물 Ⅰ급 저어새의 국내 번식개체군 현황을 파악한 결과, 서해안 24개 무인도에서 1,981쌍이 집계되어 전년대비 7.4% 증가했다고 밝혔다.
국제적인 멸종위기종인 저어새는 전 세계 번식 개체군의 90% 이상이 우리나라 서해안에 번식하는 여름 철새로 주걱 모양의 검은색 부리가 특징이다.
국립생태원과 인천저어새공존협의체*는 올해 3월부터 10월까지 지난해에 이어 인천, 충남, 전북 일대의 24개 무인도를 대상으로 저어새 번식개체군을 전수 조사했다.
* 국립생태원, 인천광역시, 한강유역환경청, 서울동물원, 동아시아-대양주 철새이동경로 파트너십(EAAFP) 사무국, 한국물새네트워크, 저어새NGO네크워크, 생태교육허브협동조합 물새알, 영종환경연합, 한국가스공사 등 10개 기관 참여
조사 방식은 실제로 번식이 이뤄지는 저어새의 둥지수를 세고 이 숫자가 번식쌍과 동일하다는 전제*로 이뤄졌다.
* 저어새는 1부 1처제 방식으로 번식하기 때문에 이 같은 조사 방식을 사용
조사 결과, 저어새 둥지수는 1,981개이며, 이에 따라 번식쌍도 동일한 1,981쌍(암수 총 3962마리)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같은 기간 조사에서는 저어새 번식쌍이 1,845쌍(둥지수 동일, 암수 총 3,690마리)으로 나타나 올해 번식쌍 수는 전년 대비 7.4% 증가했다.
한편 국립생태원은 "인천저어새공존협의체" 회원들과 함께 저어새 개체군의 안정적인 서식지를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올해 3~4월에는 인천 일대 6개 무인도에서 돌과 나뭇가지 등을 이용해 둥지터 341개를 조성했다. 이 둥지터 중 115개는 저어새들이 실제로 둥지로 사용했다.
최승운 국립생태원 멸종위기종복원센터장은 "인천저어새공존협의체와 함께 하는 시민 참여형 서식지 보호와 생태연구는 동북아 생물다양성을 회복시키는 좋은 본보기가 되고 있다"라며, "지속적으로 멸종위기종 보호 노력에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