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2030 아파트 매입 대폭 감소 김만석
  • 기사등록 2023-01-11 09:47:05
기사수정


▲ 사진=photoAC ID:3315363



2030세대의 전국 아파트 매입 비중이 평균 30% 밑으로 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부동산원 통계에 따르면, 지난해 1월부터 11월까지 전국 아파트 거래량 28만359건 중 20대와 30대가 매입한 경우는 7만9천485건으로 28.4%에 달해 2021년 평균 31%에 비해 2.6%포인트 감소했다.


전국 아파트 2030 매입 비중은 매입자 연령대별 거래량이 공개된 2019년 28.3%에서 집값이 본격적으로 오르기 시작한 2020년 29.2%로 높아졌고, 2021년에는 30%를 돌파한 바 있다. 특히 서울 아파트 2030세대 매입 비중은 2021년 41.7%에서 지난해(1∼11월)는 평균 34.1%로 하락했다.


서울 아파트 2030 매입 비중은 대선이 있던 지난해 3월과 4월 규제완화 등의 기대감으로 각각 40.7%, 42.3%를 기록하며 40%를 웃돌았으나 이후 금리 인상이 가속하며 6월에는 24.8%까지 내려왔다.


이후 지난해 8월부터 정부가 생애최초주택구입자금 대출의 LTV(주택담보대출비율) 상한을 80%까지 상향하는 등 ‘청년층 핀셋’ 규제 완화에 9월에는 34.7%로 높아졌지만 금리 부담에 10월(26%)과 11월(29.8%)에 다시 30% 아래로 떨어졌다.


다만 중저가 아파트가 밀집한 노원구 아파트의 2030 매입 비중은 2021년 평균 49.3%에서 지난해는 50.1%로 과반을 기록하며 소폭 상승했다.


수도권에서 지난해 집값이 급락한 인천지역 아파트 2030 매입 비중이 33.4%로 전년(33.2%)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고 경기도는 2021년 36.3%에서 지난해 34.4%로 소폭 감소했다.


지난해 전국 주택 거래건수는 11월까지 총 48만187건으로, 이 중 2030세대 매입 비중은 24.1%(8만7천107건)로, 20201년 27% 선에서 3%포인트가량 줄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02268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말도등대 탐방 행사 안전성 논란 종결, 박경태 군산 시의원 시민 안전 최우선 강조
  •  기사 이미지 서울시지체장애인협회 종로구지회 2024년 문화체험 나들이
  •  기사 이미지 세종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원은 어디일까?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