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기북부특별자치도(가칭),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세 번째로 큰 규모... 추현욱 사회2부 기자
  • 기사등록 2023-02-08 17:23:19
  • 수정 2023-02-08 17:31:33
기사수정


경기북부특별자치도(가칭)는  인구는  360만 명, 면적 4273.5㎢로 전국 광역자치단체 가운데 세 번째로 큰 규모이다. 한강을 경계로 경기도를 남과 북으로 나눴을 때 탄생할 ‘경기북부특별자치도’의 얘기다. 

경기 북부는 경기도 31개 시군 가운데 한강 북쪽에 있는 구리·남양주·의정부·양주·포천·파주·동두천·가평·연천·고양 등 10개 시군이 해당하며 경기도·경기도교육청 북부청, 법원과 검찰, 경찰, 소방 등 주요 기관도 따로 갖추고 있다.

2022년 12월15일 북부 지역 고양시장을 제외한 9개 시장·군수가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를 촉구하는 결의문’을 공동 발표하고, 이어 같은 달 21일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민관합동추진위원회’까지 출범하면서 분도의 희망이 다시 싹트고 있다. 민관합동추진위는 경기북도 설치를 위한 총괄·조정과 자문 활동을 위한 민관 협력 기구이다.

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단체장으로는 처음 경기북도 설치를 공식화하면서 그 어느 때보다 가능성이 크다. 김 지사는 민관합동추진위 출범식에서 “이제까지 많은 정치인이 정치적인 이유로 경기북도에 대한 얘기를 했지만 그와 같은 목적이 아니라 경기 북부의 제대로 된 발전을 통해서 대한민국을 한번 발전시켜보고 싶다”며 강한 의지를 드러냈다.

국회에서도 ‘경기북도 설치 추진단’이 만들어졌고, 김포시를 포함해 11개 시군의 행정구역을 아우르는 ‘경기북도 설치에 관한 법률안’이 발의됐다. 김포시를 포함하면 경기북도 인구는 408만 명에 이른다. 경기북도 설치를 결정하려면 지방자치법에 따라 지방의회 의견을 듣거나 주민투표를 해야 한다.

경기도의회는 물론 북부 지역 기초의회도 ‘경기도 분도 촉구 결의안’을 잇따라 채택하는 등 분도 분위기가 무르익는 모양새다. 더불어민주당 김민철 의원이 2020년 전문기관에 의뢰해 분석한 여론조사(만 18살 이상 도민 1500명)를 보면, 당시 46.3%의 응답자가 경기북도 설치에 찬성했다. 반대 의견은 33.2%였다.

경기도는 산적한 문제를 해결하려 ‘경기북부특별자치도 설치 공론화위원회’를 1월에 구성하고, 6개 권역으로 나눠 공론화와 여론조사도 진행한다고 한다. 도는 이번 기본계획 용역으로 대한민국 최북단 군사접경지역에 산재한 중첩규제를 해소하고, 경기 북부 지역의 성장잠재력을 극대화해 국가 전체 발전으로 이어지는 청사진을 제시하겠다는 계획이다. 2026년 7월1일, 경기북부특별자치도가 출범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04659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아산시장 “스웨덴식 평생학습 체계, 아산에 접목하겠다”
  •  기사 이미지 예산군 삽교읍, 자율방재단과 생태공원 산책로 예초작업 실시
  •  기사 이미지 예산군보건소, 중년 여성 한의약 갱년기 예방교실 운영
역사왜곡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