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국경제인연합회, 내년 최저임금 1만원(現 9,620원) 되면 최대 6.9만개 일자리 감소 전망 - 최저임금 추이 : 8,590원(’20년) → 8,720원(’21년) → 9,160원(’22년) → 9,620원… 추현욱 사회2부기자
  • 기사등록 2023-06-29 04:36:07
기사수정


내년도 최저임금이 1만원으로 인상될 경우 일자리가 최대 6.9만개 감소하고, 특히 청년층, 저소득층, 소규모사업장 등 취약계층의 일자리 감소폭이 클 것이라는 주장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지난 26일  최남석 전북대 교수에게 의뢰해 진행한최저임금 상승이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2023)보고서를 통해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 시나리오별 일자리 감소 효과를 분석했다.


보고서는 한국복지패널의 2017~2021년간 가구원패널 자료를 바탕으로 최저임금의 고용탄력성1)을 산출해, 최저임금 인상률에 따른 일자리 감소 효과를 추정했다. 그 결과, 내년도 최저임금이 9,620원에서 1만원으로 인상(3.95%)되면 최소 2.8만개에서 최대 6.9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이는 최근 5년간(‘18~‘22) 평균 신규 일자리 수2) 31.4만명의 8.9%~22.0%에 상당하는 수준이다.


한편 노동계 요구대로 최저임금을 12,210(26.9%)으로 인상할 경우 일자리 감소폭은 최소 19.4만개에서 최대 47만개로 추정되었다.


보고서는 최저임금 인상이 청년층, 저소득층, 소규모사업장 등 근로취약계층 일자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청년층(15~29)에서는 최저임금이 1만원으로 인상 시, 일자리가 최소 1.5만개에서 최대 1.8만개, 노동계 요구안대로 12,210원으로 인상 시, 최소 10.1만개에서 최대 12.5만개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저소득층(소득 2분위 기준)의 일자리는 최저임금이 1만원이 될 경우 최소 2.5만개에서 최대 2.9만개가 감소하고, 노동계 요구안대로 12,210원이 되면 최소 20.7만개에서 최대 24.7만개가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규모사업장(종사자수 1~4)에서는 내년도 최저임금이 1만원이 될 경우 일자리가 최소 2.2만개에서 최대 2.9만개가 감소하고, 노동계 요구안대로 12,210원이 되면 최소 15.1만개에서 최대 19.6만개가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되었다.


전경련은 취약계층인 청년층, 저소득층, 소규모사업장에서는 최저임금을 적용 받는 근로자가 상대적으로 많아, 최저임금 인상이 일자리 감소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최저임금이 지난 6년간 48.7%(‘176,470‘239,620)급증 한 데다, 최근에는 기업들이 경기침체로 극심한 경영난마저 겪고 있어 최저임금 추가 인상 시, 취약계층 일자리에 큰 타격을 줄 수 있다고 보았다.


보고서는 숙박음식서비스업과 건설업에 대한 최저임금 인상의 일자리 영향을 분석하였다. 최저임금이 1만원으로 인상 시, 숙박·음식서비스업은 최소 1.2만개에서 최대 1.6만개, 건설업은 최소 2.2만개에서 최대 2.6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전망되었고, 노동계 요구안대로 최저임금이 12,210원으로 인상되면 숙박·음식점업은 최소 8.4만개에서 최대 10.7만개, 건설업은 최소 15.2만개에서 최대 17.4만개의 일자리가 감소할 것으로 추정됐다.


최남석 교수는 최근 영세기업들은 극심한 경기침체로 판매감소재고증가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상황이어서, 최저임금이 추가로 인상될 경우 경영난이 가중될 우려가 있다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1745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