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울산시농업기술센터, 장마철 벼 도열병 조기방제 당부 우정석 울산취재본부장
  • 기사등록 2023-07-12 13:26:20
기사수정







(뉴스21통신/우정석기자) = 울산시농업기술센터(소장 신태만)는 최근 장마철 잦은 비로 인해 벼 도열병 발생이 우려됨에 따라 벼 재배 농가를 대상으로 도열병 방제에 신경 써 줄 것을 당부했다.

벼 도열병은 벼의 전 생육기간에 걸쳐 발병하는데 침해부위 및 발병시기에 따라 모도열병, 잎도열병, 목도열병으로 크게 구분된다.

초기에 잎도열병을 적절히 방제하지 못하면 출수기에 목도열병, 이삭도열병으로 전이되어 쌀의 수확량이 감소하거나 품질이 저하될 수 있다.

도열병 발생은 20~25의 다습한 조건에서 쉽게 이루어지며 잦은 강우, 일조 부족으로 식물체가 연약해지고 도열병균의 증식과 감염이 활발해지기 때문에 약제방제를 소홀히 할 경우 도열병이 확산될 우려가 있다.

특히 비료를 많이 준 논에서 발생하기 쉬우며, 영호진미, 고시히카리, 새칠보 품종은 도열병에 약한 품종으로 철저히 예찰해야 한다.

잎도열병은 발생 초기에는 잎에 작은 암갈색의 점무늬가 생기고 점점 커져 방추형의 병반이 형성되고, 심해지면 포기 전체가 붉은빛을 띠고 자라지 않아 주저앉는 형태로 말라 죽게 된다.

농업기술센터 관계자는 재배포장에서 병반 발생 시 비가 그친 틈을 이용하여 초기에 적용약제를 살포하고, 방제할 때는 농약안전사용기준을 준수해 방제해야 한다.”라며 이삭거름 사용 시 적정량(NK비료 기준 10~11kg/10a)을 살포해 줄 것을 당부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18574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