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복합문화공간 ‘서울 혜화동 Live Post’ 최명호
  • 기사등록 2016-02-03 10:15:08
기사수정

서울 혜화동 대학로는 젊음이 넘치는 거리 중 하나다. 특히 다양한 삶의 가치를 실험하는 문화의 공간이다. 한 해에도 수백 편의 아기자기한 연극무대가 펼쳐진다. 배우 한 사람 한 사람의 대사와 몸짓은 문화적 양식이 되어 객석에 벅찬 감동으로 피어난다. 때로는 잔잔하게, 때로는 익살스럽게.

다양한 삶의 가치를 찾는 연극은 문화 성장의 자양분이다. 높은 정신성이 전제된 문화는 성숙되고 윤택한 사회를 만드는 데 기반이 된다.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소극장 클러스터인 혜화동 거리는 그런 측면에서 우리의 소중한 자산이다.

혜화동 거리가 대학로라는 이름이 붙은 것은 이곳에 서울대 문리대가 있었기 때문이다. 박정희 정권 때 관악 서울캠퍼스 시대가 열리면서 그 자리에 마로니에 공원이 들어섰다. 이곳에 젊은이들이 모이고 소극장이 하나s둘 들어서면서 문화예술 공간으로 바뀌었다. 오늘날 ‘한국 연극의 메카’라는 명성을 얻은 것이다. 높은 임대료 탓에 대학로를 떠나고 있지만 혜화동 일대에 70~150석 규모의 소극장이 150여개나 있다. 많을 때는 200개가 넘었다.

대학로가 젊음과 문화의 거리가 된 것은 아마도 지역적 문화 유전자 때문일지도 모른다. 조선시대 때 지금의 대학로 인근에 인재 양성을 위한 최고학부였던 성균관이 있었다. 성균관 주변에는 과거시험과 성균관 입학을 준비하는 크고 작은 서당이 즐비했다. 뿐만 아니다. 과거 급제를 기념하는 어사 행진도 이곳에서 열렸다.

이같이 과거와 현재가 공존하는 대학로에 새로운 명소가 탄생했다. ‘서울 혜화동 Live Post’가 그것이다. 지난 1월 25일 준공식이 열렸다. 우정사업본부가 혜화동우체국을 개조해 현대적 문화공간으로 바꿨다. 대학로 부근에 위치한 지역적 특색을 살려 지역문화와 우정문화가 어우러지는 공간이다. 내부가 대학로 소극장 지도, 우체국 관련 사료로 꾸며졌을 뿐만 아니라, 내·외부 공간을 적극 활용하여 대학로 공연 및 우체국 관련 홍보가 이뤄진다. 또 고객과 화물의 동선을 재배치하고 소음이 차단되는 소포 포장실을 별도로 마련하는 등 고객에게 쾌적한 우정서비스 환경을 제공할 계획이다.

혜화동우체국 개조는 ‘Live Post 프로젝트’의 일환이다. 이 프로젝트는 민간의 자본과 창의력을 활용하여 오래된 소형 우체국을 세련된 문화공간으로 개선하는 사업이다. 지난해 1월 30일 우정사업본부에서 개최한 ‘우체국 투자설명회(IR)’를 계기로 혜화동우체국에 ‘Live Post 프로젝트’ 시범사업이 추진되었다.

혜화동우체국 관계자는 “‘Live Post 프로젝트’는 우체국이 보유한 자원과 민간기업의 자본을 결합하여 우정자산의 활용도와 가치를 제고하고 대국민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여 정부3.0을 현장에서 실천하는 사례로, ‘서울 혜화동 Live Post’가 지역사회의 사랑방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246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QS(Quacquarelli Symonds), 서울대 31위,KAIST 53위,성균관대 123위,한양대 162위,서강대 576...'2024 세계대학평가'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