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전남도, “쌀값 하락세…산지 재고량 조속한 시장 격리를” - 정부에 쌀 수급·가격 안정 위한 선제적 대응 촉구 박찬웅 전남취재본부장
  • 기사등록 2024-02-01 10:47:02
기사수정

         ▲수매현장

[뉴스21통신 박찬웅기자] 전라남도는 2023년 수확기 이후 쌀값 하락세가 지속됨에 따라 산지 재고물량 조속한 시장 격리 등 정부 차원의 쌀 수급 및 가격 안정 대책을 선제적으로 건의했다.

 

전남도에 따르면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산지 쌀값은 지난해 105217552/80kg을 기록한 이후 지속해서 하락, 25일 현재 11.7% 떨어진 194796/80kg 수준이다.

 

이는 정부의 2023년산 수확기 쌀값 안정 대책 발표에도 불구하고 민간업체의 소극적인 매입과 공공비축미 매입량 감소가 주요 원인이란 분석이다. 농가가 농협에 출하하는 물량이 집중됨에 따라 재고부담을 줄이려는 일부 농협 미곡종합처리장(RPC)의 저가 판매가 이뤄지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2022년 쌀값 폭락 당시 매입업체가 최대 적자를 기록했던 경험에 비춰볼 때, 2023년산 쌀값마저 하락세가 지속된다면 농협 및 민간 미곡종합처리장의 2024년산 자체 수매 물량이 축소되는 등 농가에 직접적인 피해가 이어질 것으로 우려된다.

 

이에 따라 전남도는 정부에 쌀 수급 및 가격 안정을 위한 대책으로 2023년 식량원조(ODA) 신곡 매입물량을 기존 5만 톤에서 10만 톤으로 확대 일부 산지 재고물량에 대한 조속한 시장격리 조치 등을 강력히 건의했다.

 

김영록 전남도지사는 지난 20년간 쌀 생산비 상승률을 감안하면 쌀값은 최소한 22만 원대 유지가 필요하다하락세인 쌀값을 회복시키기 위해 정부가 의지를 가지고 선제적 추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남도는 노후한 도내 가공·건조·저장시설 개보수 지원(50억 원), 도내 대학생에게 천원의 아침밥 확대 지원(36만 식) 등 자체적인 쌀 수급안정을 위해 여러 방면의 대책을 마련해 추진하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3153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  기사 이미지 경력단절여성, “양성평등 활동가로의 새로운 시작 기대”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