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국민건강프로젝트연재특집(침향바로알기) - 침향특집1(왜 침향인가? 침향과 침향제품들) 배석문 논설위원
  • 기사등록 2024-10-29 20:55:27
  • 수정 2024-10-29 21:02:39
기사수정

국민건강프로젝트 특별취재 및 연재 - 침향바로알기

* 본 특집연재기사는 100세시대 최대화두인 국민건강을 위하여 최근 몇 년간 많은 사람들에게 널리 알려지고 애용되며 새로운 투자처이자 산업적으로도 비약적인 성장(2023년 세계침향오일시장 25천만달러, 202710억달러이상 예상)을 하고 있는 침향(沈香)” 제품들에 대하여 전문가(기업포함)의 심층취재와 자료, 기존의 언론기사 및 각종 정보들을 검토, 취합하고 정리하여 국민들게 정확히 알려드림 으로써 객관적으로 인증된 최고의 정통침향 제품을 주력제품으로 재배, 생산, 유통에 사명적 심혈을 기울이고 있는 우수기업과 전문경영자에게 피해가 없도록 침향업계 및 시장을 정화하고 잘못된 정보나 언론 보도로 인한 침향에 대한 소비자들의 오해와 판단을 불식시키며 비정상적인 유통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여러 문제점들을 예방하고 궁극적으로 공식인증된 최고품질의 침향제품들을 적정하고 정상적인 가격에 구입, 애용함으로써 100세시대 건강한 삶에 적극 기여할 수 있도록 여러제보와 자료들을 인용하여 취재 및 특별기획되었으며 3회에 걸쳐 연재됩니다.

* 특집연재기사1: 왜 침향인가? 침향과 침향제품들!

* 특집연재기사2: 급성장하는 세계의 침향시장과 비전!

* 특집연재기사3: 세계일류침향기업탐방, 베트남 대라천침향!

--------------------------------------------------------------------

* 특집연재기사1: 왜 침향인가? 침향과 침향제품들!

건강을 잃으면 모든 것을 잃는다 ” (Losing Health is Losing Everything) !


1. “ 침향 ” - 아는만큼 보인다!

. 침향이란?

침향(沈香)은 원어그대로 향기가 가라앉는다또는 물속에 잠긴향이란 뜻이다. 침향나무자체는 평균비중이 0.34인데 수지가 침착되면 비중이 높아져서 물속에 가라 앉는다. 그래서 수침향(水沈香)’이라고도 불린다. 팥꽃나무과에 속한 상록교목인 침향나무(Aquilaria agallocha Roxburgh)수지(樹脂, 나무의 진)가 침착된 것이. 영어로는 Agarwood라 통칭되지만 아가우드는 아퀼라리아(Aquilaria)에 속하는 26종 모든 식물을 통칭하기도 한다. 침향은 침향나무에 상처가 났을 때 자신을 보호하기 위해 분비하는 수지(樹脂·나뭇)가 오랜 시간 조금씩 굳어져 덩어리가 된 것을 말한다. 침향나무가 외부의 공격(비바람에 의한 상처, 개미를 비롯한 벌레가 집을 짓거나 미생물의 침습 등)으로부터 자신을 방어하고 회복하기 위해 분비하는 액체가 짧게는 수십년, 길게는 수백 년 동안 굳어야 비로소 침향이 되며 침향은 나무한그루당 1~2kg만 채취가능하다.

침향나무는 크게 3가지 종으로 분류되는데, 과거의 문헌이나 현재에도 인도차이나반도에서 생산되는 아갈로차(Agallocha)종을 上品으로 여기며 그 중 베트남산 침향最上으로 거래하고 있다. 침향은 한약재와 향의 원료로서 매우 귀한 자원이다.

10년에서 수백 년의 긴 세월 동안 온갖 풍파를 겪은 침향나무 중에서도 선택받은 몇 안되는 침향나무에서만 얻게 되는 효험 가득한 침향은 향유고래의 용연향’, 사향노루의 사향과 함께 세계 3대 으뜸향으로 꼽힌다.

. 침향의 역사와 유래

동아시아 지역에서 침향은 예로부터 고급 향약재(香藥材)로 널리 사용되었다. 향약(香藥)향료약물(香料藥物)’을 간략하게 줄인 말로서, 천연 향료이면서 약재로도 사용된 것을 지칭한다. 여러 향약 중에서도 특히 침향은 가장 고가의 사치품으로서 오랜 시간 애호되었다. 동진(東晉) 시대 불교 경전 중아함경(中阿含經)에서는 여러 근향(根香) 중에 오로지 침향이 제일이다.”라고 하였고, 송대(宋代) 정위(丁謂)가 쓴 천향전(天香傳)에서는 이렇듯 향을 피우면 모든 하늘로 통한다. 대개 침수향(沈水香)이 근본이요, 훈육향(薰陸香)이 그 다음간다.”고 하여, 예로부터 침향이 중요시되었음을 보여준다.

침향은 고대로부터 불교 의례 등 신성한 의식을 치를 때 분향(焚香)하여 경건함을 더하였고, 약재로 쓰일 때에는 보통 곱게 갈아서 물과 꿀 등과 섞어 환으로 만들어 복용하였는데, 소화 기능[胃氣]을 도우며 소화불량·식욕부진 등의 증상을 개선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고 믿어졌다. 또 침향은 옷에 붙은 벌레를 쫓고 향기를 스미게 하는 훈의향(薰衣香)으로도 널리 쓰였으며, 다른 약재와 섞어 화장품이나 세안제로도 이용되었다. 뿐만 아니라 향다(香茶침향수(沈香水) 등 음료로 식용되기도 하였으며, 침향목을 조각하여 불상이나 장식품을 만들기도 하였다.

3세기 무렵 오()에서 찬술된 남주이물지(南州異物志)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있다.

침향은 월남(越南, 베트남)에서 생산된다. 침향을 취하고자 하면 먼저 땅에 서 있는 나무를 베어서 쓰러뜨려 오래 쌓아두면 외피는 썩어 부스러지고, 그 심지는 지극히 단단하여 물에 넣으면 곧 가라앉으므로 이름 하여 침향이라 한다. 그 다음은 심지의 하얀 부분 사이에 있는데 굳고 정밀한 정도가 심하지 않은 것으로, [물에] 두면 가라앉지 않고 뜨지도 않아서 수면과 더불어 평평한 것을 이름 하여 잔향(棧香)이라 한다. [값어치가] 가장 적은 것은 거칠고 흰 것으로 이름 하여 계향(繫香)이다.”

이처럼 향목이 물에 가라앉기 때문에 침향이라 이름 하였으며, 이에 따라 고대 중국에서는 침수향 또는 수침향(水沈香)이라고도 불렀다. 그밖에 같은 침향나무로부터 얻은 향목으로 침향보다 수지 밀도가 떨어지는 것을 잔향(棧香황숙향(黃熟香) 등으로 구분하였는데, 이들도 모두 침향 계통의 향목이다.

이러한 침향목의 구분은 송대(宋代)에 이르러 더욱 세분화되었는데, 송대에 찬술된 제번지(諸蕃志)권하(卷下) 잡물(志物)에서는 생향(生香)베어 넘어뜨린 향나무[香株]가 아직 오래되지 않은 것으로, 나무 속에 향이 이미 생겨난 것을 일러 생향이라 한다. [수지가] 표면에 맺힌 것[結皮]3인 것은 잠향(暫香), 5인 것은 속향(速香), 7인 것을 전향(箋香), 10인 것은 침향(沈香)이다.”라고 전한다. 역시 수지의 밀도에 따라 구분이 이루어졌으며, 그중에서도 수지 밀도가 높은 침향을 으뜸으로 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침향은 그 가치가 금에 비견될 정도로 귀하였는데, 송대(宋代, 1178)에 찬술된 영외대답(嶺外代答)에는 다음과 같은 기록이 전한다.

백성[省民]이 소 한 마리로 여동(黎峒, 중국 하이난 중남부)에서 향 1짐과 바꾸고 돌아와서 [상품의] 등급을 가려 보면, 물에 가라앉는 것은 열에 한두 개도 안 된다. 이때 향 가격은 백금과 같다. 이 때문에 객상(客商)들도 [향을 구매해서] 팔지 못하고 관리들[宧遊者]조차도 많이 살 수 없었다.”

이처럼 전근대 동아시아에서는 소량의 침향도 매우 고가의 사치품으로 취급되었는데, 침향이 가지는 이와 같은 물품의 특성은 고가의 교역품으로 활용되기에 매우 유리하였다. 따라서 고대로부터 동아시아 해양 교역에서 침향이 차지하는 비중은 매우 컸다. 일례로 통일신라는 중국으로부터 들여온 침향을 비롯한 다양한 종류의 향약을 다시 일본으로 수출하였는데, 그 자세한 내역이 오늘날 매신라물해(買新羅物解)라는 고문서 자료로 전해진다.

한반도에서도 고려시대에 접어들면 여러 향약이 일상생활에 널리 사용되었다. 고려 왕실은 외국 사신을 맞이하거나 왕비·왕태자 책봉 의식 등 각종 의례에서 향을 피웠고, 제사 및 불교도량, 시주 및 공로자에 대한 하사품으로도 귀한 향약이 활용되었다. 민간에서도 남녀 모두 향을 몸에 지니거나 옷에 향을 쐬 몸에서 향내 나는 것을 즐겼으며, 귀족들의 집에는 늘 향이 피워져 있었다. 이러한 사회 분위기 속에서 고가의 향약으로서 침향도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삼국사기

헌덕왕은 명하기를 침향은 귀중한 수입품으로 귀족들이 다투어 침향을 구입하는 것은 사치스러운 일이다. 지금부터 진골을 포함한 모든 귀족들이 침향을 사용하는 것을 금한다.(신라 헌덕왕 11년 서기 919)

고려사

1) 약용

고려 문종은 늙고 쇠약하여 풍습마비의 명을 앓았다. 여러가기 처방을 해봤지만, 병이 호전되지 않자 송나라의 황제에게 신농백촐ㄹ 보내줄 것을 요청하였다. 송은 88명의 사절단 가운데 한림의관과 100가지 약재를 보내왔다. 약재목록 가운데 침향이 첫 번째로 기록 되었다.(고려사 9권 세가9)

2) 조공품

송과 금이 전쟁을 할때에 송은 고려의 지언을 얻기 위하여 종종 귀한 물건을 보내왔다. 어느 때는 사신 서덕영을 파견하여 송황제의 밀지를 보냈는데, 침향을,, 은으로 만든 합에 2중으로 포장하여 고려왕에게 보내왔다. (고려사 18권 세가 18)

3) 조각품

기유년에 왕은 침향으로 관음상을 조성하여 궁전 내전에 봉안할 것을 명하였다.(고려사 1717)

조선왕조실록

1) 침향은 비싼 가격을 주더라도 반드시 구해오도록 하라.

세종대왕은 침향을 좋아했다. 세종실록에는 침향이 모두 24번 등장한다. 조선시대 왕 중 최다 횟수다. 세종은 침향을 직접 여러 번 언급하기도 했다. 세종은 중국에서 구할 진귀한 약재를 말할 때, 침향에 대해 이렇게 말했다. ‘비록 주사와 용뇌가 진귀한 약재이지만, 중국에서 구하는 것이 그리 어렵지 않다. 그러나 침향은 중국에서도 구하기 어려운 물건이다. 이전에 일본인들이 가져와 팔았는데, 우리가 너무 저렴한 가격에 구하려하니 그들이 다시는 물건을 가져오지 않는다. 침향은 일본에서도 나지 않아 일본 사람들도 아주 먼나라까지 가서 침향을 구해 온다고 한다. 그러니 설사 비싼 가격을 주더라도 반드시 구해오도록 하라.(세종 143421)

2) 침향은 비싼 가격을 주더라도 반드시 구해 오도록 하라.

성종 25, 여러 신하들은 일본 상인들이 조선과의 무역에서 폭리를 취하니, 그들과의 무역을 금지해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성종은 회답하기를 침향과 용뇌 외에는 일본인들과 무역을 금지한다. 특히 침향은 설령 비싼 값을 치르더러도 반드시 구입하도록 하라. 그 후, 침향을 구입하지 못하자 성종은 몇곱절의 값을 주더라도 꼭 구하도록 하라고 명하였다.(성종 25, 12546)

3) 국왕이 직접 제사를 지낼 때만 사용했던 침향

제사를 지낼 때, 국왕이 직접 지내는 제사가 아니면 침향을 사용하지 못하도록 하고, 대신 단향을 사용하도록 하였다.(정조 10, 45568)

4) 태자와 침향 염주

중종 36, 궁중에서 일하는 사람이 태자가 어려서부터 지니고 있던 침향염주를 훔쳐 달아났다. 태자는 내심 조급했지만, 그렇게 귀중한 물건은 돌고돌아 반드시 궁중으로 돌아 오게 될 것이라고 여겼다. 얼마지 않아 잃어 버렸던 침향염주가 궁중으로 돌아 왔다. 태자는 범인만 처벌하고 다른 사람들은 처벌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태자의 지혜와 인자함을 찬탄하였다.(중종 3618442)

5) 영의정에게 하사된 침향

중종 18년 영상 김전자는 병이 날로 악화되어 여러차례 혼미를 거듭하였다. 중종은 영상이 침향을 구할 수 없어 침향강기탕으로 병을 치료하지 못함을 알고 침향과 기타 약재를 하사하여 영상의 병을 치료토록 하였다.(중종 18, 16193)

6) 일본 왕에게 침향 불상을 요구하였다.

일본 국왕이 대장경을 보내 줄 것을 희망하는 서신의 답변으로 세조가 일본 왕에게 보낸 서신 가운데 침향으로 조성한 불상을 찬탄하며 일본 왕이 침향 불상을 보내 줄 것을 희망하였다.(세조 37200)

성경의 요한복음19장과 불경 법화경에도 침향은 기술되어 있다.

. 구전 및 의서에 의한 일반적 효능

본초강목에서는 정신을 맑게 하고 심신을 안정시켜준다.”, 동의보감에서는 성질이 뜨겁고 맛이 맵고 독이 없다. 찬 바람으로 마비된 증상이나 구토, 설사로 팔다리에 쥐가 나는 것을 고쳐주며 정신을 평안하게 해준다.”라고 나와 있다. 베트남 전설에는 호랑이가 칼에 베였을 때 침향나무를 찾아가 상처 부분을 문질렀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난치병으로 분류되는 신장병 당뇨병 고혈압 뇌졸중 불면증 변비 동맥경화 심근경색 협심증 두통 통증 암 불임 위장병 여성질환 갱년기질환 성기능장애 등 각종 질환에 효과적인 침향은 예로부터 황제(임금)들도 상용하였다.

2. 왜 침향인가?

왜 많은 사람들이 침향을 찾고 애용하고 있을까? 그것은 침향이 지닌 특수한 성분 및 구체적 효능 때문이다(각종 논문과 역사적 사례등에 근거).

. 침향의 특수한 성분 및 구체적 효능

1) 주요성분

알파블레젠 : 항산화 및 항바이러스 작용

베타셀리넨 : 혈액순환 및 혈관 속 노폐물 배출에 도움

쿠크르비타신 : 암세포의 증식 및 전이를 억제

델타구아이엔 : 정유성분의 일종으로 신경관련질환에 도움

아가로스피롤 : 심신의 안정과 집중력에 도움이 됨

2) 구체적효능

한의학에서는 예로부터 기력이 쇠하고 활력이 떨어진 몸을 보충하는 데 도움을 주는 약재로 침향을 즐겨 사용했다. 현대의학에서는 침향이 여러 질병에 높은 약용가치를 지니고 있음이 널리 알려지면서 최근 10년 사이에 침향 대중화 시대가 열렸다. 최근 밝혀진 침향의 효능은 스트레스로 인한 뇌 손상과 뇌의 퇴행성 변화를 막는 데 도움을 준다. 침향의 주요 성분중 베타셀리넨(β-Selinene)’이 있다. 베타셀리넨은 만성신부전 환자의 증상을 호전시키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확인된 바 있다. 만성 신부환자가 침향을 섭취했을 때 식욕부진과 복통, 부종 등의 증상이 개선됐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베타셀리넨 성분이 신장에 기운을 불어넣고 기력을 회복하는 데 도움을 준 것으로 분석된다. 또 다른 핵심 성분은 아가로스피롤(Agarospirol)’이다. 아가로스피롤은 신경을 이완하고 마음을 진정시키는 효과가 있어 천연 신경안정제로 불린다. 심리적 안정감을 회복시켜 주므로 불면증을 극복하는 데 도움을 준다.

침향은 오랜 옛날부터 최고급 약재로 정평이 나 있다. 중국의 본초강목부터 허준의 동의보감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문헌에 그 약효가 기록돼 있을 만큼 명약으로 꼽힌.

구체적 효능으로는 남성의 경우엔 간 기능 저하, 신기 부족, 신경피로, 정력 부족, 발기부전과 조루 및 정충 허약, 정수(정액) 부족, 요통, 남성 불임, 상기 두통, 허약체질, 정신 혼란 등에 주효하고, 여성의 경우엔 간 기능 저하, 신기 부족, 정신피로, 여성 호르몬 부족 및 불감증, 기미, 요통, 상기 두통, 질 건조증, 허약체질, 정신 혼란, 갱년기장애 등에 주효하다.


. 재배침향나무 품종의 비교

식의약품 침향제품에 사용되는 침향목 품종은 AAR(베트남)AML(인도네시아)며 재배침향으로는 베트남산, 인도네시아산이 주로 사용되며 그중의 최상급 품질은 고서 및 한의서 기준과 재배이력 추적이 가능한 유기농재배의 베트남산이다(인도네시아산은 보통 강한 화학성분 수지유도제 사).

한국에서 사용되는 침향가공식품재료의 99%가 인도네시아산이다.

침향나무품종도 AAR(Aquilaria Agallocha Roxburgh, 베트남유일, 침향오일,과 분말이 식품과 의약품원료로 사용됨 )인지 AML(Aquilaria Malaccen Lamk, 인도네시아산 16개이상 품종 총칭, 분말과 고형분만 가공식품에 사용됨)인지 구별해야한다.

재배침향나무수령이 20년이상된 나무에 천연수지유도제와 유기농법 및 인증을 받은 베트남산인지 그렇지 않은 인도네시아산인지 기본적으로 알아야 한다.


3. 침향제품들은 어떤 종류들이 있는가?

시중의 판매되는 주요 침향제품들은 대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 침향오일캡슐(고가)/일반가공식품/침향전문회사중심

순수침향오일추출 또는 혼합오일/캡슐화

- 베트남산, 인도네시아산, 중국산

. 침향환()/다양한 제품(,,고가)/일반가공식품/건강식품회사/한의사 등등

침향분말성분 일부 포함하고 나머지 수십가지 한약재 등 혼합하여 제조

(99%정도가 인도네시아산 침향분말을 사용/가장 많이 판매됨)

. 침향수(중저가)/일반가공식품/침향전문회사

침향오일을 원료로 희석해서 식음료로 활용토록 제조

. 침향나무스틱(중저가)/침향전문회사/수입및가공회사

침향나무를 가공하여 비치 및 효능을 발휘토록 제조

. 침향차(중저가)/일반가공식품/침향전문회사/건강식품회사

침향나무, 침향잎, 분말을 활용하여 차로 마실수 있도록 제조

. 침향수지오일(중저가)/침향전문회사/가공회사

고농축 침향오일로 따뜻한 물에 희석해서 복용토록 제조

. 침향선향(인센스스틱) 및 오일유향(중저가)/침향전문회사/가공회사

침향선향은 불로 향을 피워 활용하며 오일은 마사지 등으로 심신안정용

. 기타 침향비누 등 다양한 침향응용 가공제품들이 출시되고 있음

4. 좋은 침향(제품) 고르는법과 올바른 사용법

귀한 약재인 침향은 정확히 알고 제대로 고르는 것이 중요하며 사용방법 또한 효능과 관련이 있기에 매우 중요하다.

. 좋은침향(제품) 고르는법

침향은 과거부터 진()침향, ()침향 등으로 구분했다. 말그대로 진침향은 진짜 침향이고 가침향은 가품을 말한다.

이 둘은 물에 넣어보면 구별할 수 있다. 바닥까지 완전히 가라앉으면 진품으로 약효가 가장 좋다. 중간 정도 가라앉는 것은 중품이고 물에 뜨는 것은 가품으로 효과가 적다고 알려졌다. 이러한 결과는 수지성분의 함량차이에 따른 결과다.

침향이 물에 가라앉을 정도로 수지가 침착되면 최고의 품질이지만 최소 30년이상 시간이 필요하고 가격도 너무 비싸서 일반인이 접하긴 쉽지않다. 참고로 인도네시아산은 나무자체비중이 1.2이상이어서 아무런 작업을 안해도 물에 가라 앉는다.

침향나무는 멸종위기 야생동·식물 보호국제협약(CITES)에 속해 있다. 따라서 천연침향은 없다고 해도 무방하다. 현재 시장에 유통되는 침향은 대부분 동남아시아 인공재배 침향나무에서 나온 것이다. 엄밀히 따져보면 인조침향이지만 동일한 수지성분이기 때문에 천연침향의 대체품으로 사용되고 있다. 천연수지유도제의 개발과 유기재배농법의 발달로 침수되기 전단계의 침향도 성분검사를 통해 충분한 효능이 입증되고 있기 때문이다.

침향나무 목재는 연하고 물에 뜨며 향기도 없지만 수지 침착이 진행되어 침향이 되면 그 색이 어두워지고 재질도 단단하고 무거워지는데, 물에 완전히 가라앉을 정도로 수지 침착이 진행되어야 침향으로서 상품성을 인정받게 된다. 이런 특성 때문에 침수향(沈水香)이라고도 불린다. 그밖에 같은 침향나무로부터 얻은 향목(香木)이라도 수지가 충분히 침착되지 않아 물에 가라앉지 않는 경우에는 침향과 구분하여 황숙향(黃熟香), 잔향(棧香) 등으로 달리 부르는데, 모두 침향보다 상품성이 떨어진다.

누구나 인정하는 좋은 침향이라 함은 색감이 깊고 질감도 세밀하여야 하며, 무엇보다 수지의 함량이 풍부하여 비중이 높고 중량이 무거워야 하고, 향미 또한 진하고 감순해야 한다. ‘좋은 침향은 약효도 좋아 인체에 유익하게 작용하며 은은한 향이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도와주지만, 그렇지 않은 저질 침향은 잡미가 나고 거부감이 생기기도 하며 가짜 침향의 경우에 따라서는 인체에 해를 입힐 수도 있으니 침향을 구입하실 경우에는 신중을 기해야하고 침향을 원료로 가공한 가공식품 또한 원산지, 등급, 함량 등도 고려해야한다.

침향은 색상별로 구분하면 1: 녹색, 2: 심녹색, 3: 금사색(微黃), 4: 황토색, 5: 흑색이다.

본초비요(本草備要)에서의 침향 색상 구분법은 다음과 같다.

침향 품급을 자고새의 반점같은 문양은 황침(黃沈)’, 우각처럼 검은 것을 각침(角沈)’이라 했으며, 황사침(黄蜡沉)은 씹어보면 부드럽고 얇게 깎아서 뭉쳐지는 것으로 가장 귀한 것이다. 또한 잔향(栈香)은 물에 뜨는 것, 전향(煎香)은 반쯤 잠기는 것, 계골향(鸡骨香)은 물에 잠기지만, 속이 비어서 적합하지 않다. 검고 물에 잠기는 것이 좋은 것이라 하였다.

침향의 성미(性味)는 맵고 쓰고 따듯하며 질감이 부드러운 침향일수록 수지함량이 높은 우수한 침향이라 할 수 있습니다. 수지 함량이 많아 품격이 높은 침향의 경우는 유지 성분으로 인하여 원래 문양이 잘 드러나지 않는 경우도 있다.

침향은 실온(상온, 대개 20±5°C의 일정한 온도)에서는 향을 발산하지 않고, 인체 온도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그윽한 천년 향기를 내뿜는 신비로움도 간직하고 있다.

매운맛의 침향은 혀가 얼얼한 느낌이 들 정도의 침향은 주로 강심작용에 사용하는데, 중의(中醫)학에서는 심양부진(心陽不振)의 증상에 따듯한 기운이 통하게 하고 심장의 양기 회복을 돕기 위해 맵고 따뜻한 침향이 효과적이다라고 하였다.

쓴맛의 침향은 신기허한(腎氣虛寒)의 증상에 고미(苦味)의 침향은 신장을 따뜻하게 해주고 양기를 충만하게 해주며, 육계(肉桂)와 고미의 침향을 함께 섭취하면 인화귀원(引火歸元) 강신장양(强腎壯陽)에 도움을 준다고 하였다.

최고급품 침향은 얇게 깎아서 굴려보면 뭉쳐지고 씹어보면 부드럽다.’

옛문헌에 나오는 좋은 침향은 대부분 베트남산 침향을 의미한다.

건강식품으로 널리 애용하는 고가의 침향오일캡슐이나 중저가의 각종 침향환()의 경우, 재배침향목종류가 AAR인지, 침향성분비율이 적절하고 원산지는 베트남산 1,2등급, 유기농인증여부, 건강기능성제품인증여부 등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침향이라는 명칭만 대대적으로 홍보, 사용하고 인도네시아산 침향분말성분을 아주 극소량에 기타 수십가지 한약재를 조합하여 판매하는 중저가 제품들이 아주 많다.

. 사용법(일반적 침향제품기준)

침향은 상온에서 발향하지 않고 40C가 넘어야 발향이 됩니다.

침향 하루섭취량은(1등급 : 오일기준 3,000mcg, 분말기준 0.5g)이고 아침공복에 취향하시거나 복용 하시는게 좋다.

선향 : 취향실을 정하여 선향을 충분히 발향시키고 약30분 후에 들어가 취향한.

수지(오일) : 11~2회 손목이나 인중 또는 목 뒷부분에 발라 주거나 소량을 복용한다.

: 1125~30개의 조각에 침향수 10ml 섞은 후 뜨거운 물에 우려 마신.

(처음 나오는 향을 반드시 취향하고 마신 차는 냉장 보관 후 재탕해도 좋다)

4. 스틱/자루 : 조금씩 조각내어 온열판에 올려 취향하고 다시 차 처럼 사용.

5. 캡슐 : 식사 후 하루 11캡슐 복용(1일 적정 복용량 1등급 3,000mcg)

6. () : 저녁식사 후 하루 11()을 천천히 녹이면서 씹어서 복용한다.

7. 침향수 : 1120ml씩 희석음용하거나, 가습기 등을 이용한 취수 및 취향한

* 일반적인 침향의 부작용으로는 다음과 같은 부분들이 있다.

(체질, 평소질병상태, 성격등에 따라서 양상이 다름)

- 과도하게 섭취하면 복통과 설사, 구토 등을 유발한다.

- 열이 많은 체질은 과도한 열로 부작용이 날 수 있다.

- 임신 중의 여성은 약성이 강해서 신중하여야 한다.

- 기가 너무 허하고 무기력한 환자들은 주의해야 한다.


국민건강프로젝트 침향 2탄에서는 급성장하는 세계의 침향시장현황과 비전 에 대하여

연재토록 하겠습니다. 건강은 최고의 재산입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5007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관련기사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통일부 ‘한미회담 앞두고 남북관계 복원 협의
  •  기사 이미지 김여정 “한국은 외교 상대 아냐”…이재명 정부 대북 유화책 평가절하
  •  기사 이미지 [속보] 내란 특검, 이상민 전 장관 "구속기소"…'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