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식값의 10%에 가까웠던 배달플랫폼의 중개수수료율이 최고 7.8%로 낮아진다.
3만 원짜리 음식이면 점주는 지금까지 2천9백여 원을 부담했는데 최고 2천 3백여 원으로 낮아지는 것이다.
배달플랫폼 수수료를 낮추기 위해 상생협의체가 머리를 맞댄 지 115일 만.
그동안 배달플랫폼과 점주들은 10여 차례 회의를 열고도 간극을 좁히지 못했다.
수수료 상한액과 평균 등 중재 원칙이 제시됐는데, 쿠팡이츠의 입장이 달랐기 때문.
하지만, 쿠팡이츠가 결국 물러섰고, 최고 수수료율을 더 낮게 제시한 배달의민족 안을 일괄 시행하는 데 합의했다.
최고 수수료율은 7.8%로 하고, 매출액에 따라 2%까지 차등 인하하는 게 상생안의 핵심이다.
입점업체 매출 상위 35%는 최고 7.8%, 하위 20%에는 2%를 적용하고 중위 45%에는 6.8%를 매기는 것이다.
다만 입접업체 단체 일부가 합의안에 반대하며 퇴장해 '반쪽 합의'라는 지적도 나오고 있다.
수수료 변경안은 배달플랫폼들의 시스템 정비가 끝나는 대로 적용되고 3년 동안 시행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