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 우려에서 시작된 제한 조치
전기차 화재는 열폭주(thermal runaway)로 인해 진화가 어렵고 불길이 빠르게 번진다는 특징이 있다. 이로 인해 밀폐된 지하주차장에서 발생할 경우 화재로 인한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우려가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일부 단지에서는 "충전 상태가 90% 이하인 전기차만 지하주차장 출입을 허용한다"는 등의 규정을 마련했다.
그러나 전기차는 기본적으로 과충전을 방지하는 배터리 관리 시스템(BMS)을 탑재하고 있다. 이 시스템은 충전 상태가 100%에 도달하면 자동으로 충전을 중단하며, 배터리의 과열을 감지하면 충전을 조절하거나 차단한다. 즉, 현재 기술적으로 과충전으로 인한 화재 위험은 이미 최소화되어 있다. 따라서 충전량 90%를 기준으로 출입을 제한하는 조치는 과학적 근거가 부족하다는 지적을 피하기 어렵다.
소방청 자료에 따르면, 2021년 전기차 화재 발생 건수는 23건으로, 내연기관차의 4,488건에 비해 현저히 적다. 이를 등록 대수 대비 화재 발생 비율로 계산하면 전기차는 약 0.017%, 내연기관차는 0.019%로 큰 차이가 없다. 전기차 화재가 상대적으로 드물다는 점에서, 특정 차량에만 규제를 강화하는 것은 전기차 운전자들에게 불공정한 조치로 비칠 수 있다.
기술적 이해 부족 충전량을 기준으로 한 제한 조치는 전기차 배터리 관리 기술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결과로 보인다. 전기차는 이미 화재 방지 기술을 탑재하고 있어, 90%라는 충전 기준은 불필요하거나 과도한 조치라는 비판이 나온다.
실효성 문제 충전량을 확인하기 위한 인프라가 부족한 상황에서, 이를 실행에 옮기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비용과 불편이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형평성 논란 내연기관차 역시 화재 위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전기차만을 대상으로 한 규제는 형평성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
이 기사는 전기차 화재 위험과 관련된 논란을 중심으로 정책의 합리성과 대안을 제안합니다. 여러분의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건축물 해체공사장 긴급 점검 실시
[뉴스21통신/장병기] 광주광역시 서구는 최근 울산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한 보일러타워 해체공사 중 붕괴 사고를 계기로 관내 건축물 해체공사장을 대상으로 긴급 안전점검을 실시했다고 19일 밝혔다.이번 점검은 해체공사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붕괴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안전수칙 미준수로 인한 피해를 방지하기 위해 마련됐다. 점검 .
광주시교육청, 교육공무직 총파업 총력 대응
[뉴스21통신/장병기] 광주시교육청은 오는 21일 예정된 전국학교비정규직연대회의 총파업으로 인한 학생, 학부모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총력 대응에 나선다.시교육청은 ‘교육공무직원 총파업 대응 대책’을 수립하고, 지난 14일 각급 학교에 안내했다.특히 부교육감을 본부장으로 한 비상대응본부를 꾸리고, 총파업으로 인해 발생..
中 대형 매체들, 韓 골프장 인력난 해결사로 '위두(WIDU)' 집중 조명
[서울=서민철 기자]최근 경주 APEC을 기점으로 한중 관계가 급속한 해빙 무드를 타고 있는 가운데, 중국 주요 관영 매체들이 한국의 골프 산업 인력난을 해소하기 위해 나선 한국 기업에 뜨거운 관심을 보이고 있다.지난 11월 11일, 차이나닷컴과 CCTV 등 중국 유력 언론들은 한국의 지자체 및 관련 협회와 협력하여 중국 골프장 캐디 인력을 한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