헌정 초유의 감사원장 탄핵안에 최달영 사무총장이 부당함을 호소하고 나섰다.
최 총장은 전 정부 표적 감사 주장에 동의할 수 없다고 했다.
민주당이 '정치 감사'로 거론한 서해 공무원 피살 사건, 월성 1호기 경제성 평가 조작, 전현희 전 권익위원장 감사에는 각각 수사 결과 번복, 지난 정부 여야 합의에 의한 국회 요구, 다수의 비리 제보라는 감사 착수 배경이 있었단 것이다.
그러면서 대형 재난 대비, 잼버리대회 파행, 국가 전산망 장애 등 현 정부 추진 사항에 대해서도 똑같은 잣대로 감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민주당이 부실 감사로 꼽은 '대통령 관저 이전' 의혹과 관련해선 업체 선정 주체는 확인했지만 추천자까지는 밝혀내지 못했다며 한계를 인정했다.
다만, 관계자들을 126번 대면 조사하고 경호처 간부 비리도 적발하는 등 철저하게 감사했다며 "어떻게 해야 감사원이 더 할 수 있는지" 되묻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