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만 점에 이르는 곤충 표본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생물자원관 수장고다.
국내에서 발견된 곤충을 건조하거나 보존액에 담아 보관한다.
지난해 우리나라에서 처음 발견돼 이곳에 들어온 곤충은 모두 370종.
이 가운데 섬어린밤나방과 한라줄흰나비, 제주박각시살이고치벌 등 모두 38종이 대만과 일본 남부 등에 서식하는 '아열대성 곤충'으로 파악됐다.
지난 5년간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곤충 중 아열대성 곤충의 비율은 4%에서 10.3%로, 2.5배나 늘어났다.
곤충이 온도 변화에 민감한 생물인 걸 감안하면, 기후변화의 영향이 큰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지난해 처음 발견된 아열대성 곤충 38종 가운데 21종은 제주도에서 포착됐다.
지난 5년간 제주도의 연 평균기온은 상승세를 보였고, 지난해에는 17.8도를 기록해 기상 관측이래 가장 높았다.
국립생물자원관은 국내에서 처음 발견된 곤충 가운데 해충은 없는 걸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들이 국내에 정착했을 때 생태계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는 지속적인 관찰이 필요하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