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산강유역환경청은 2025년 4월부터 광주광역시와 전라남도, 경남 하동군 등 관할 18개 지자체*의 수질오염총량 담당자를 대상으로 '찾아가는 맞춤형 기술지원'을 실시한다고 밝혔다.
* (18개 지자체) 광주광역시, 전라남도, 전남 담양군 등 16개 지자체, 경남 하동군
2005년에 도입된 수질오염총량제는 하천의 목표수질을 설정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지역별로 배출할 수 있는 오염물질의 총량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제도이다. 이를 통해 주민들은 깨끗하고 안전한 물을 지속적으로 이용할 수 있고, 지자체는 환경 보호와 지역 발전을 동시에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24년 영산강의 수질이 하천 수질 등급 지표인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기준으로 볼 때 최근 11년 중 가장 개선되었다.
현재 영산강·섬진강수계 지자체는 환경기초시설 신·증설, 방류수 수질기준 강화, 비점오염 저감사업 등 다양한 수질개선 활동을 추진 중이며, 2030년까지 약 1조 2천억원을 투입하여 저감목표 오염물질 배출량 대비 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 88.7% 수준으로, 총인 73.2% 수준으로 줄일 계획이다.
영산강유역환경청과 국립환경과학원, 한국환경공단 등 관련 전문가들이 합동으로 직접 현장을 방문하여 지역개발사업에 필요한 오염부하량 산정 방법, 시행계획 이행평가 보고서 작성 등을 1:1로 맞춤형 기술지원한다.
이를 통해 제도 시행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시행착오를 줄이고 행정 효율성을 높임으로써, 주민들이 보다 직접적인 수질개선 효과를 체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영우 영산강유역환경청장은 “수질오염총량제는 단순히 규제정책이 아니라 지역의 물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발전을 함께 이루는 핵심 정책”이라며,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도움이 되는 맞춤형 기술지원과 적극적인 소통을 통해 2030년 수질개선 목표를 달성하고, 깨끗한 영산강과 섬진강을 만드는데 더 앞장서겠다”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