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주일간 이어진 화마에 울창하던 소나무 숲이 잿더미가 됐다.
소나무는 1970년대 정부의 조림 사업에 따라 전국 각지에 심어졌다.
척박한 땅에서도 잘 자라 산림 복원이 빨랐기 때문이다.
현재 전국 산림 면적의 20% 이상을 차지해, 단일 수종으로는 가장 많다.
하지만, 산불이 났을 땐 큰 피해를 불러온다.
송진 등이 불에 잘 타는 데다 건조한 봄에도 잎이 붙어 있어, 일단 산불이 나면 활엽수보다 더 강하게, 오래 탄다.
'나무 심기' 위주의 조림 사업도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다.
솎아내지 못한 고사목 등이 산불의 연료가 됐고, 높은 밀도 탓에 불은 더 쉽게 번졌다.
경남 산청의 경우 낙엽이 성인 허리 높이까지 쌓여 진화에 어려움을 겪었다.
전문가들은 숲의 '체질 개선'이 필요한 시점이라고 강조한다.
침엽수림 일부를 불에 강한 내화 수종으로 대체해 '불막이 숲'을 조성하거나, 산불 확산이 우려되는 지역에선 나무들이 적당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간벌해야 한다는 거다.
불막이 숲 조성 같은 숲 가꾸기 사업을 위해서는 산주들의 동의와 함께 예산 확보 등 정책적 관심이 필요하다고 산림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