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특별자치도 취재팀] 도시개발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떠오른 군산 신역세권 일대에서 내흥동 근린공원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부터 지난해 말 군산시에 귀속된 이 공원은 향후 수요 증가가 예상되는 가운데, 관리체계 정비의 필요성이 커지고 있다.
지난 1일, 군산시의회 경제건설위원회 박경태 의원은 군산시 산림녹지과와 함께 내흥동 37호(52,509㎡)와 40호(62,010㎡) 근린공원에 대한 현장 점검을 실시했다. 이번 점검은 2023년 12월 2일 LH로부터 공원이 군산시에 무상 귀속된 이후 진행된 첫 본격 현장 진단으로, 도시공원 관리 체계의 실효성을 시험하는 중요한 계기가 됐다.
이 자리에서 박 의원은 "내흥동 근린공원은 신역세권 개발의 핵심 녹지로, 시민들에게 쾌적한 휴식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크다"며, "특히 산지형 공원으로서의 생태적 특성을 살려 수목 정비와 초화류 식재 등 체계적 관리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실제로 공원은 평지보다 생육환경 유지가 까다로운 경사지형이 많아, 기존의 일반 근린공원보다 고도화된 정비계획이 요구된다.
하지만 점검 결과 공원 내에는 하자 보수가 미비한 시설, 과밀한 수목, 훼손된 산책로 등 사용자의 안전과 쾌적함을 저해할 수 있는 요소들이 다수 발견됐다. 이에 박 의원은 "단순 보수를 넘어 숲 가꾸기 사업과 연계한 전면 재정비가 필요하다"고 시에 촉구했다. 더불어 "생육조건이 양호한 지형에는 초화류 식재를 통해 경관 기능 강화도 고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에 대해 노남섭 산림녹지과장은 "내흥동 근린공원의 생태적 가치를 고려한 자연친화적 정비계획을 수립 중"이라며, "앞으로도 정기적인 점검과 보완을 통해 시민들이 보다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겠다"고 밝혔다.
군산시는 이번 점검 결과를 토대로, 내흥동 근린공원을 단순한 지역 공원을 넘어 신역세권 도시계획과 연계된 핵심 녹지축으로 육성할 방침이다. 특히 공원 주변에는 주거단지, 상업시설, 교통망이 연이어 들어설 예정이어서, 향후 이 지역은 도시 내 복합생활권 중심지로 전환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따라 군산시는 공원의 기능이 단순 녹지 제공을 넘어 도심 내 휴식, 치유, 경관자산으로서의 다층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정비를 추진하고 있다.
이 같은 방향성은 「공원녹지법」 제21조에 따라 지방자치단체가 귀속받은 공공시설물에 대해 시설 유지·보수 의무를 이행해야 하는 법적 책임과도 궤를 같이 한다. 더 나아가 「국토기본법」 제12조의 ‘자연과 인간의 조화로운 발전’ 원칙을 실현하는 측면에서도 공원의 생태적 복원력 강화는 행정적 당위성을 가진다.
전문가들은 도시개발과 함께 급격히 늘어나는 인구 밀도에 비례해 녹지의 가치와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내흥동 공원은 단순한 생활녹지가 아니라 도시의 기후 회복력, 시민의 정신건강, 커뮤니티 형성 등 복합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도시 기반 인프라로 자리매김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에 따라 군산시는 내흥동 근린공원의 지속 가능한 운영을 위한 유지·보수 체계 마련과 함께, 도시 녹지 확대와 연계한 정책적 지원 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다. 현재 산림녹지과는 타 지자체의 우수 공원 운영 사례를 분석하고 있으며, 향후 공원 조례 개정 및 예산 확보 등을 통해 내흥동 공원이 시민 누구나 즐겨 찾는 도심 속 쉼터로 자리 잡을 수 있도록 후속 조치를 이어갈 계획이다.
도시는 개발로 성장하지만, 삶의 질은 녹지로부터 완성된다. 내흥동 근린공원이 군산 신역세권의 대표 녹지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단순한 보수가 아닌, 도시 정책과 일관된 철학을 담은 생태적 관리체계가 뒷받침되어야 한다. 이번 점검이 그 출발점이 될 수 있을지, 군산시의 향후 대응에 이목이 쏠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