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22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된 산불.
사흘 뒤 순간 풍속 초속 27미터의 강풍이 불면서, 이웃 청송을 지나 영덕군까지 빠르게 번졌다.
화마가 덮치면서 영덕군에서만 10명이 숨졌다.
하지만, 영덕군 지품면은 산불이 가장 먼저 번졌는데도 상황이 달랐다.
이곳 지품면은 주택과 창고 수백 채가 불에 탔지만 인명 피해는 한 명도 없었다.
산불이 심상치 않다고 본 주민들이 신속하게 대피했기 때문이다.
영덕군이 긴급재난문자를 보내기도 전인 오후 4시 반부터 대피가 시작됐다.
군청에도 대피를 도와달라고 먼저 요청했다.
천8백여 명의 주민이 전부 몸을 피하는 데는 3시간가량 걸렸다.
그 사이 산불은 지품면을 덮쳤고, 위성 사진에서도 저녁 7시에서 8시 사이 지품면 대부분이 불길에 휩싸인 게 확인된다.
조금만 늦었어도 대규모 인명 피해로 이어질 수 있던 아찔한 상황이었다.
앞서 보신 것처럼 산불이 급속도로 번질 땐 빠른 대피가 인명 피해를 줄이는 핵심이다.
정부도 이에 맞춰 대피 체계를 개선하기로 했다.
우선, 대피 구역부터 늘린다.
현행 마을 단위의 '구역' 대피에서, 앞으로는 '지역' 대피, '권역' 대피까지 내리기로 했다.
대피 기준도 강화한다.
정부는 산불 피해가 컸던 이유 중 하나로 예측 실패, 그러니까 불이 얼마나 번질지 몰랐던 걸 꼽았다.
기상 악화로 드론이나 헬기를 못 띄워 화선 측정이 곤란했기 때문인데, 앞으로는 화선 정보가 없는 경우 경북 산불의 확산 속도인 시간당 8.2km를 기준으로 대피령을 내리기로 했다.
산불이 5시간 안에 닥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즉, 확산 방향으로 41km 떨어진 곳까지 '위험구역'으로 설정해 주민들을 즉시 대피시킨다는 거다.
새 기준을 경북 산불에 대입해보면, 발화지인 의성부터 청송군 서쪽 지역 대부분이 즉시 대피해야 하는 위험구역이 된다.
정부는 산불이 8시간 안에 번질 것으로 예상되는 곳은 '잠재적 위험구역'으로 설정해, 대피 준비와 함께 이동 속도가 늦은 노약자는 미리 대피시키기로 했다.
화선 정보가 있는 경우에도 평균 풍속이 아닌 최대 순간 풍속을 기준으로 산불 확산 거리를 계산하기로 했다.
정부는 대피 지역이 광범위하더라도 인명 피해를 줄이는 데 중점을 두고 대피령을 내릴 거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