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구윤철 전 국무조정실장… ‘AI정부’ 본격 시동 - 이재명 대통령, '소버린AI' 와 이를 기반으로 한 AI 3대강국(G3) 도약 의지 반… 추현욱 사회2부기자
  • 기사등록 2025-06-29 21:29:22
기사수정



이재명 대통령이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로 ‘AI전도사’ 구윤철(60·사진) 전 국무조정실장을 내정했다.


앞서 인공지능(AI) 분야를 중심으로 현업 전문가들을 AI수석,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에 기용한 데 이어 경제사령탑에도 AI전문가를 발탁하면서 ‘AI를 통한 경제활성화’에 이재명 정부가 올인했다는 평가가 나온다.


소버린AI와 이를 기반으로 한 AI 3대강국(G3) 도약을 위한 이 대통령의 강력한 의지가 반영됐다는 해석이다.


강훈식 대통령실 비서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룸에서 “기획재정부 예산실장과 2차관 및 국무조정실장을 역임한 자타공인 정책통”이라며 구 후보자 내정을 발표했다.

강 비서실장은 “레볼루션 코리아, AI코리아 등 저서에서도 나타나듯이 대한민국 혁신을 고민한 인물”이라며 “국가 재정은 물론 정책 전반에 대한 높은 전문성을 토대로 대한민국 성장의 길을 찾을 적임자”라고 했다.

이재명 대통령은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에 배경훈(49) LG AI연구원장,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에 한성숙(58) 전 네이버 대표를 내정하고, AI미래기획수석에 하정우(48) 네이버 퓨처AI센터장을 임명하는 등 AI와 IT관련 전문가를 대거 내각에 발탁하고 있다. AI 분야에 ‘올인’하겠다는 구 후보자와 결이 맞는다.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는 AI 시대에 맞춰 우리나라가 AI 기술 개발과 AI 기술 인력 양성, AI를 활용한 기업·생활·사물·행정 생산성 향상과 비용 절감, 새로운 제품과 서비스 등을 창출하는 일 등을 추진하고, AI 관련 국제기구를 유치함으로써 AI 시대의 각종 글로벌 국제 기준과 준칙 마련 등 회의가 있을 때 우리나라가 세계를 주도해 나가자는 주장을 펴고 있다. 또 국가기관의 AI 거버넌스 혁신이 중요하다는 입장이다.

이는 이재명 대통령이 대선후보 시절 ‘잠재성장률 3% 진입’이라는 성장 공약을 제시한 것과도 큰 관련이 있다. 저출생·고령화 사회에 접어들며 인당 생산성 향상과 총생산성 향상이 절실한 상황에서 연구·개발(R&D) 예산 증액과 함께 AI 대규모 투자를 통해 돌파구를 열어 공약을 달성하겠다는 차원에서 AI전문가들을 대거 발탁했다는 설명이다.

한국은행은 최근 보고서에서 AI를 적극적으로 도입해 잘 활용하면, 우리나라 경제의 총요소생산성이 1.1∼3.2% 개선되고 국내총생산(GDP)도 4.2∼12.6% 늘어날 잠재 가능성이 있다고 분석했다. 고령화·저출생에 따른 노동 공급 감소가 2023∼2050년 한국 GDP를 16.5% 깎아내릴 것으로 추정되는데, AI가 성공적으로 생산성과 산출을 늘리면 이 감소 폭도 5.9%까지 줄일 수 있다고 봤다.

한편 최상목 전 부총리 사퇴 두 달 만에 경제수장의 빈자리가 채워지면서 새정부 경제정책방향 준비, 재정운용 기조전환 등에도 속도가 붙을 것으로 전망된다. 구 후보자가 기재부 장관으로 임명되면 최 전 부총리 사퇴 이후 사실상 중단된 경제부처 장관급 회의체가 정상화할 것으로 보인다. 부총리가 주재하는 경제관계장관회의 겸 산업경쟁력강화 관계장관회의는 지난 달 21일을 마지막으로 열리지 않고 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269606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통일부 ‘한미회담 앞두고 남북관계 복원 협의
  •  기사 이미지 김여정 “한국은 외교 상대 아냐”…이재명 정부 대북 유화책 평가절하
  •  기사 이미지 [속보] 내란 특검, 이상민 전 장관 "구속기소"…'언론사 단전·단수 지시'
사랑 더하기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