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귀 의사를 밝힌 의대생과 전공의들에게 특혜를 줘선 안 된다는 국민 동의 청원이 닷새 만에 동의자가 심의 기준인 5만 명에 이르고 있다.
청원인은 "아무런 책임을 지지 않고 복귀하는 일이 반복된다면 의료계에 대한 국민 신뢰가 무너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환자단체 역시 전공의들이 새로 제시한 '3대 요구안'에 유감을 표하며, 국회 앞 1인 시위를 시작했다.
반대 여론을 의식한 듯 정부는 '국민 눈높이'에 맞는 의료 정상화 방안을 마련하겠다고 했다.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은 취임사에서 "국민과 의료계 모두 공감할 수 있는 의료개혁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전공의 단체도 '입영 연기'를 비롯한 특혜성 조치는 요구사항이 아니라는 입장이다.
복지부는 이달 안에 협의체를 꾸려 전공의 수련 연속성 보장을 위한 논의를 본격화할 방침이다.
이런 가운데 의대 총장들은 의대 본과 4학년이 의사 국가시험을 추가로 치를 수 있도록 정부에 건의하기로 했다.
추가 국시가 확정되면 복귀하는 의대생을 위한 특혜라는 논란이 거세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