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 제천시가 추진 중인 시청 주차장 조성 사업이 특정 업체에 대한 특혜 논란과 함께, 지역 장비 사용 외면으로 또다시 논란을 빚고 있다.
앞서 본지는 <“특허공법 아니면 못 짓는다?” 제천시 주차타워 공사, 특정 업체를 위한 맞춤형 조건> 논란 기사(6월 30일 자 보도)를 통해, 제천시가 특정 특허 공법을 채택해 사업을 진행하며 사실상 수의계약처럼 특정 업체에만 유리한 구조를 만들었다는 의혹을 제기한 바 있다.
하지만 문제는 여기서 그치지 않았다. 현재 제천 청사 내에서 실제 공사가 진행 중인 가운데, 제천지역 장비(크레인 등 중장비)가 아닌, 다른 지역업체의 장비를 반입해 시공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실제로 본지가 현장을 취재한 결과, 제천 관내에 동일 장비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외지 업체의 장비가 동원돼 공사가 진행 중이었다.
이에 대해 한 지역 장비업체 관계자는 “시에서 시행하는 사업에서조차 지역 장비를 외면한다면, 우리 같은 지역업체는 언제 일하냐”며 강한 불만을 토로했다.
심지어 제천시 회계과 관계자는 본지와의 통화에서 “현장에서 어떤 장비가 쓰이는지도 잘 모르겠다”고 답변했다. 이는 사업 발주 및 집행 과정에서 행정의 기본적인 관리·감독 기능조차 제대로 이뤄지지 않았음을 방증하는 대목이다.
지역 경제 활성화와 일자리 창출을 명분으로 한 지방재정 투입 사업에서, 정작 지역 자원을 배제하고 외지 업체에 의존하는 관행은 시민들의 이해를 얻기 어렵다.
특히 해당 사업은 지방세와 국비 등이 투입되는 공공사업인 만큼, 최소한의 지역 우선 고려 기준이 적용돼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제천시 관계자는 향후 공정성과 투명성 확보를 위한 재발 방지 대책과 지역업체 활용 실태 점검이 필요하다는 시민사회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