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채해병 특검 출범 후 쏟아지는 '정점 윤석열' 향한 진술...
'VIP 격노'를 목격한 대통령실 최측근들에 이어, 이를 일선에 하달한 혐의를 받는 군 수장들의 입에서도 속속 퍼즐의 조각이 터져 나오고 있다. 채해병 특검팀(이명현 특검) 수사 초기 김태효 전 1차장 등 국가안보실 관계자들의 진술이 쏟아졌고, 최근엔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과 김계환 전 사령관까지 이전과는 다른 입장을 내놓고 있다.
이 전 장관 측은 지난 21일 "(2023년) 7월 31일 (전화는) 대통령의 전화가 맞고 군을 걱정하는 우려의 말씀을 하신 것으로 기억한다"고 밝혔다. <오마이뉴스>가 이 전 장관에게 '02-800-7070'으로 전화한 인물이 윤석열이라고 보도한 직후였다.
이 전 장관 측은 그러면서 특검에 제출한 의견서도 함께 공개했는데, 여기에도 "국가안보실 회의에서 해병대 수사단 조사 및 조치 의견을 보고 받고 탐탁하게 여기지 않은 대통령께서 2023년 7월 31일 이 전 장관에게 전화해 군 조직을 걱정하는 우려를 표명한 기억은 남아 있다"는 내용이 담겨 있었다.
이제껏 이 전 장관은 '02-800-7070'이 누구에게 걸려온 전화인지, 그 내용이 무엇인지 밝히지 않았었다. 다만 이 전 장관 측은 특검 제출 의견서에 "기억에 남을 큰 사고, 무언가 떳떳하지 못한 통화였다면 그 내용이 보다 구체적으로 기억 속에 남아 있을 터인데, 당시 통화가 통상적인 대통령과의 소통이다 보니 구체적인 내용은 기억에 남아 있지 않다"며 해당 통화가 수사외압 의혹과는 무관하다는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이 전 장관 측은 24일 낸 입장문에서도 "문제는 격노라는 대통령의 감정 표현이 아니다. 당시 격노했다면 대통령이 무슨 말씀을 하신 것인지 그 대통령의 말씀으로 장관이 이첩보류 지시를 하게 된 것인지 여부가 법률적으로 중요한 쟁점"이라며 "(이 전 장관은) 대통령과의 통화에서 격노를 접한 기억이 없고 그 격노 때문에 이첩보류 지시를 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다시 한 번 강조드린다"라고 주장했다.
김계환 전 사령관 측도 영장실질심사(구속 전 피의자 심문) 과정에서 VIP 격노설을 인정했다. 그의 변호인인 김영수 변호사는 지난 22일 영장실질심사 후 취재진과 만나 "(김 전 사령관이 영장실질심사에서) 대통령이 화가 났다는 이야기를 들었다고 인정했다"고 말했다. 정민영 특검보도 지난 23일 정례브리핑에서 "김 전 사령관이 22일 영장실질심사에서 윤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알고 있었다고 처음 인정했다"고 밝혔다.
김 변호사는 더해 "해병대 사령관의 지휘 계통이라고 할 수 있는 장관이나 대통령이 직접 사령관에게 이야기한 게 아니었고, 당시에는 대통령이나 장관이 그런 격노가 없었다고 하니 해병대 사령관으로서는 '내가 들은 게 맞나' 의문을 가질 수밖에 없는 상황"이었다며 "감히 대통령이 격노했다고 떠들 수 있는 상황이 아니었다"고 전했다.
이어 "(VIP 격노를) 누구로부터 (전해) 들었는지 정확히 기억을 못하고 있다"라면서도 "특검에서 제시한 통화목록 관계자 중 대통령실과 국방부 관계자가 가능성이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김 전 사령관은 VIP 격노 당일 임기훈 전 국방비서관, 신범철 전 국방부 차관, 박진희 전 국방부 군사보좌관, 김형래 전 국가안보실 행정관 등과 통화한 것으로 전해졌다.
한편 특검팀은 지난 11, 18일 김태효 전 차장을 피의자 신분(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으로 조사했는데, 김 전 차장은 이 자리에서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이 안보실 회의에서 임기훈 전 비서관의 보고를 받고 화를 냈다'는 취지의 진술을 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수사외압 의혹에 연루된 인물의 진술 중 VIP 격노를 인정하는 첫 증언이었다.
김 전 차장과 함께 회의에 배석했던 국가안보실 이충면 전 외교비서관, 왕윤종 전 경제안보비서관도 참고인 신분으로 각각 14, 15일 특검팀에 출석해 비슷한 답을 내놓은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팀은 VIP 격노가 있었던 국가안보실 회의에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 김용현 전 경호처장(이후 국방부 장관)도 배석한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