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성군은 겉으론 조용해 보이지만 지역 사회는 지금 큰 변화를 겪고 있다. 인구 감소와 고령화는 통계가 아닌 현실이 되었고, 청년 이탈과 자영업 침체는 지역의 지속 가능성을 심각하게 위협한다. 여기에 지난 3월 대형 산불은 주민들의 삶에 물질적·심리적 상처를 남기며 지역의 어려움을 가중시켰다.
그동안 의성군은 도시재생사업과 청년 정책 확대, 농촌 유휴시설을 활용한 창업 지원 등 여러 의미 있는 노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신공항 유치는 지역의 잠재력을 알리는 중요한 성과로 평가받는다.
의성군의 노력과 군민 현실 사이에는 큰 괴리가 있다. 소상공인들은 “요즘은 코로나 때보다 더 어렵다”고 토로하고 주민들은 “공치는 날이 많다”며 생계 위기를 호소한다. 面 단위 지역은 낮에도 한산하고 거리는 해가 지면 더욱 적막해지며 마을은 점점 활력을 잃고 있다.
더욱이 군정의 핵심 정책들이 주민들과 충분히 공유되거나 논의되지 않는 점이 아쉽다. 봉양면 일대는 5년 전 신공항 건설을 이유로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였지만 개발은 더디고 구체적 발전 계획도 보이지 않는다. 최근 이 규제가 또다시 연장될 것이라는 소문이 돌면서 주민들의 불안과 반발이 커지고 있다. “밭이라도 팔아 병원비를 마련하려 했는데 몇 년째 꼼짝도 못 한다”는 하소연은 단순한 재산권 문제를 넘어 郡 행정에 대한 신뢰 저하를 보여준다.
행정은 주민들에게 내용을 일방적으로 전달하는 것이 아니라, 충분한 설명과 꾸준한 소통을 통해 이해와 동의를 함께 만들어가는 과정이어야 한다. 신공항 유치 이후 기대를 모았던 지역 발전 역시, 추진 일정과 구체적인 구상, 교통망 계획 등이 제대로 공유되지 않고 있다. 행정에 대한 신뢰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내부 일정 못지않게 외부와의 소통이 필수적이다.
인근 군위군은 대구시 편입 이후 신공항 관련 정책과 도시계획 방향을 주민들과 적극적으로 공유하며 대비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스카이시티 조성, 군부대 이전, 정주 여건 개선 등의 구상이 구체적으로 제시되면서 주민들은 변화에 대한 기대감을 키워가고 있다.
행정은 주민의 삶 속에서 작동할 때 비로소 그 힘을 발휘한다. 오늘 장사를 어떻게 이어갈지 고민하는 상인, 생계의 무게로 하루를 시작하는 어르신, 이 지역에 머물며 미래를 설계할 수 있을지를 모색하는 청년까지, 이들의 일상과 맞닿아야 행정은 진짜 의미를 갖는다. 삶의 현장을 세심하게 이해하고 반영할 때, 행정은 형식적인 절차를 넘어 주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
군민들은 묻고 있다. “정책은 우리 삶과 어떤 관련이 있는가”, “공직자들은 왜 침묵하는가”, “의성은 어디로 향하는가,” 이 질문들에 이제 더 이상 형식적 설명이나 사후 해명으로는 답할 수 없다. 진심 어린 소통과 구체적 계획, 그리고 꾸준한 대화가 절실하다.
의성은 조용한 지역이지만 이제 행정이 먼저 말해야 할 때다. 잘해온 정책은 계승하되, 놓친 부분은 돌아보고 주민과 함께 걷는 과정에서 진짜 희망이 싹틀 것이다.
글/논설위원 조광식(행정학 박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