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21통신 박민창 기자] 지난 4월 불법 운영 논란으로 문제가 됐던 전남 영암 삼호 파크골프장에서 이번에는 ‘개인정보 유출’이라는 심각한 사건이 발생했다.
8월 9일, 영암삼호파크골프장 휴게실 게시판에는 파크골프협회 1급 자격증 수험생 238명의 실명, 성별, 주민번호 앞 6자리, 전화번호, 거주지역, 성별등이 모두 적힌 A4 프린트물 6장이 최소 2일 이상 노출된 채 부착돼 있었다.
해당 프린트물은 블라인드 처리 없이 모든 정보가 그대로 공개됐다.
4월 방송 이후 영암군은 협회 개입을 차단한다며 전담 직원 2명을 추가 배치해 3인이 직접 관리한다고 밝혔지만, 파크골프장 입구의 군청 소속 직원은 기자가 게시판 문제를 지적하자 그제야 프린트물을 황급히 수거했다.
조사 결과, 해당 프린트물은 파크골프 삼호지회 사무국장이 회원 문의를 이유로 부착했다고 한다.
이에 대해 영암군은 개인정보 유출 문제를 파악하고도 사무국장에게 “다음부터 주의해 달라”는 구두 주의에 그쳤을 뿐, 어떤 조치나 재발방지 대책은 없었다.
이에 이용객들은 “개인정보 보호를 너무 가볍게 생각한다”, “타 구장보다 비싼 이용료를 받으면서 이런 일이 말이 되냐”며 강하게 분노했다.
개인정보 노출로 인한 2차 피해 우려가 커지는 가운데, “어쩐지 광고전화가 쏟아진다”, "범죄에 악용되는 거 아니냐"하는 걱정어린 탄식도 나왔다.
그럼에도 영암군은 관리와 책임을 회피하고 모든 문제를 사무국장 개인에게 떠넘기는 모습이다.
영암군은 관리 주체로 직접 나서 이용료까지 받고 있음에도 불구, 내부 문제에 책임을 회피하며 실질적 대처에 소홀해 파크골프장을 이용하는 이용객들의 불신만 키우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은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이라는 점에서 더욱 크다.
개인정보보호법은 단순한 실수에도 엄중한 처벌을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개인정보 유출 사건을 영암군이 ‘별일 아닌 일’로 치부하려는 듯한 태도가 드러나면서, 사안의 파장과 함께 군의 진정성 있는 개선 의지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