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부산과 서울 아파트에서 전동 오토바이 배터리 화재로 인명 피해가 발생하는 안타까운 사고가 잇따랐다. 국가화재정보시스템 통계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리튬이온 배터리 관련 화재는 총 627건 발생했으며, 이 가운데 77%가 전동 킥보드에서 일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제 배터리 화재는 누구에게나 닥칠 수 있는 일상적인 위험이 됐다.
리튬이온 배터리는 높은 에너지 밀도를 갖고 있어 휴대전화, 노트북, 전동 킥보드 등 생활 곳곳에서 사용된다. 그러나 충격을 받거나 과충전, 비인증 충전기를 사용할 경우 내부 온도가 급격히 상승해 ‘열폭주(thermal runaway)’ 현상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곧 화재나 폭발로 이어질 수 있다.
하지만 이러한 위험은 생활 속 작은 실천으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
대피 통로 충전 금지: 현관이나 비상구 등 피난 통로에서는 충전을 하지 말아야 한다.
충전 중 방치 금지: 잠자는 동안이나 외출 시에는 충전을 중단해야 한다.
정품 충전기 사용: 반드시 정품 충전기를 사용하고, 충전이 끝나면 즉시 플러그를 뽑아야 한다.
이상 징후 즉각 대응: 배터리가 부풀거나 변색·이상한 냄새가 날 경우 즉시 사용을 멈추고 교체해야 한다.
리튬이온 배터리 화재는 특별한 사고가 아니라 작은 부주의에서 시작된다. 반대로, 일상 속 작은 습관 변화가 가장 확실한 예방책이 될 수 있다. 안전은 거창한 구호가 아니라, 오늘 충전기를 뽑는 작은 실천에서 출발한다.
조대성 예방안전과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