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미국 뉴욕 유엔 본부에서 진행된 유엔 안보리 회의 의장석에 앉았다. [사진=MBCNEWS영상캡쳐]
이재명 대통령이 24일(현지시간) 대한민국 대통령으로는 처음으로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 의장석에 앉아 ‘AI와 국제 평화·안보’를 주제로 한 공개토의를 주재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오후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약 1시간 동안 회의를 이끌며 의사봉을 두 차례 두드리고 의제 채택을 선언하는 등 안정된 진행을 선보였다. 개회 선언에서 그는 “각국 대통령, 총리, 고위급 대표들이 참석한 것은 우리가 논의하는 주제의 중요성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발언에서 “AI라는 도구를 어떻게 다루느냐에 따라 전혀 다른 미래가 펼쳐질 것”이라며 “명과 암이 공존하는 AI 시대를 기회로 만들려면 국제사회가 단합해 ‘책임 있는 이용’의 원칙을 세워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제프리 힌튼 교수의 말을 인용해 “현재의 AI는 새끼 호랑이와 같다”며 “AI는 맹수가 될 수도, 사랑스러운 존재가 될 수도 있다. 칼이 요리사에게는 도구이지만 강도에게는 무기인 것과 같다”고 설명했다. 이어 “AI 시대에 변화한 안보 환경을 분석하고 공동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며 “대한민국은 글로벌 책임 강국으로서 AI가 인류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만드는 도구가 되도록 국제 협력을 주도하겠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안토니우 구테흐스 유엔 사무총장 등 주요 인사의 브리핑을 청취한 뒤 직접 모두발언을 하고 회의를 주재했다. 이후 의사봉을 조현 외교부 장관에게 넘기고 회의장을 이석했다. 다자회의 특성상 정상들이 일정에 따라 차석급에 회의 진행을 맡기는 것은 일반적인 절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