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미디 대부’ 전유성 별세 [사진=MBC뉴스영상캡쳐][
‘코미디 대부’로 불리며 한국 개그 역사를 이끌어온 전유성이 25일 오후 9시 5분, 폐기흉 증세 악화로 전북대학교병원에서 별세했다. 향년 76세. 고인은 딸이 곁을 지키는 가운데 평온히 눈을 감았으며, 빈소는 서울아산병원 장례식장에 마련됐다. 장례는 희극인장으로 치러진다.
1969년 방송 작가로 출발한 전유성은 ‘유머 1번지’, ‘개그콘서트’ 등 수많은 무대를 통해 한국 코미디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 ‘개그맨’이라는 용어를 처음 사용해 희극인의 정체성을 새롭게 자리매김했고, ‘코미디 시장’을 운영하며 신봉선, 황현희, 박휘순 등 후배들을 배출하는 등 개그계의 산실 역할을 했다. 또한 ‘조금만 비겁하면 인생이 즐겁다’, ‘전유성의 구라 삼국지’ 등 여러 저서를 통해 웃음 철학을 남겼다.
비보가 전해진 뒤 연예계와 코미디계에는 추모 물결이 이어지고 있다. 최양락은 “형님은 마지막까지도 유머를 잃지 않으셨다”며 눈시울을 붉혔고, 이경실은 “오빠의 삶은 멋지고 장했다. 이제 아프지 마시고 편히 쉬시길”이라고 전했다. 박준형은 “손은 야위었으나 말씀의 기백과 유머는 여전했다”며, 세 달 전 마지막 무대를 회상했다. 가수 양희은은 “1970년 첫 무대에서 만난 뒤 55년을 함께했다. 이렇게 빨리 가실 줄 몰랐다”며 애도를 표했다.
부산국제코미디페스티벌 조직위원회도 “전유성 선생님은 한국 코미디의 ‘최초’를 개척한 선구자였다”며 “그 발자취는 한국 코미디 역사에 길이 남을 것”이라고 추모했다.
웃음을 남기고 떠난 전유성의 마지막 길은 오는 28일 발인으로 이어진다. 수많은 후배들과 국민들에게 ‘웃음의 기억’을 선물한 그의 유산은 앞으로도 한국 코미디의 큰 줄기로 남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