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국가유산청 제공
창경궁의 600년 역사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는 상설 전시가 마련된다. 그동안 일반 출입이 제한됐던 영춘헌도 특별 개방돼 다양한 체험 프로그램이 운영된다.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국가유산진흥원과 함께 오는 30일 서울 종로구 창경궁 집복헌에서 상설 전시 ‘동궐, 창경궁의 시간’을 개관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창경궁의 건립과 변천, 왕실 생활과 국정 운영, 일제강점기의 훼손과 광복 이후 복원 과정을 아우른다. 창덕궁과 함께 ‘동궐(東闕)’로 불리며 조선 왕실의 중요한 공간으로 기능했던 창경궁의 역사적 의미를 재조명하는 자리다.
창경궁은 1418년 세종이 태종을 위해 지은 수강궁에서 시작해, 성종 14년(1483년)에 확장 건립되면서 본격적인 궁궐의 면모를 갖췄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에는 동물원과 식물원이 들어선 ‘창경원’으로 격하되었다가, 광복 이후 복원 과정을 거쳐 현재의 모습을 되찾았다.
전시에서는 국왕의 집무 공간, 왕실 여성과 세자의 생활 터전, 국가 의례 현장 등 창경궁의 다채로운 모습을 소개한다. 특히 ‘창경원’ 시절의 훼손과 복원 과정을 담은 자료를 통해 궁궐이 겪은 굴곡진 역사를 돌아볼 수 있다. 청각·시각 장애인을 위한 수어 해설 영상과 점자 안내 책자도 준비됐다.
영춘헌 내부는 특별 개방돼, 1848년 순원왕후와 신정왕후의 기념 연회를 기록한 ‘무신진찬의궤’가 태블릿을 통해 재현된다. 또한 ‘동궐도’ 속 전각 찾기 체험, 궁궐 내부 포토존, 휴식 공간도 마련된다. 개방 기간은 9월 30일부터 11월 16일까지다.
관람은 창경궁 입장료를 제외하고 무료이며, 사전 예약 없이 참여 가능하다. 운영 시간은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자세한 내용은 궁능유적본부와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에서 확인할 수 있다.
궁능유적본부 관계자는 “이번 전시를 통해 창경궁이 살아 있는 역사와 문화의 장임을 알릴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앞으로도 궁궐 공간을 활용한 전시와 프로그램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