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뉴스21 통신=추현욱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소비자보호총괄본부를 신설하고, 여기에 인사와 전략, 제재 권한까지 부여하기로 했다.
취임 일성으로 소비자와 투자자 보호를 내세웠던 이 원장의 첫 조직개편 윤곽이 나온 것인데, 금감원의 4개 본부 가운데 소비자보호총괄본부가 사실상 가장 상위에 있는 총괄기구로 역할을 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감원은 기존 금융소비자보호처를 격상한 소비자보호총괄본부를 수석부원장이 이끄는 조직으로 바꾸기로 했다. 현재 박지선 부원장보가 이끄는 소비자보호 부문도 떼어내 소비자보호총괄본부로 옮긴다.
앞서 금감원은 오는 12월 기존 김미영 부원장이 이끄는 금융소비자보호처를 소비자보호총괄본부로 격상하고 불법 사금융과 보이스피싱 등에 대응하는 '민생침해범죄 대응 총괄단'을 신설한다고 밝힌 바 있다.
소비자보호총괄본부는 소비자 보호·감독을 총괄한다. 본부 아래에는 '소비자보호 기획·감독' '경영' '디지털' 부문을 함께 둔다. 소비자보호 기획·감독 부문은 소비자 민원·분쟁, 제도와 상품부터 검사까지 총괄하며 민원 분쟁 조정과 감독·검사까지 한번에 해결한다. 특히 기존 기획조정국, 인사연수국, 제재심의국까지 다 흡수해서 조직·예산 관리와 인사 등을 확보해 막강한 조직으로 거듭난다.
기존 은행·중소금융, 자본시장·회계 부문은 유지하되, 마찬가지로 전 부서에서 각각 민원·분쟁과 감독, 검사까지 한 흐름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조직과 기능을 재편한다.
눈에 띄는 것은 기존 이세훈 수석부원장 산하의 '보험' 부문을 떼어내 '민생금융'과 결합해 '보험·민생 부원장직'을 신설한다는 점이다. 현재 '민생금융' 산하에는 불법 사금융, 유사수신 등을 다루는 금융사기대응단, 민생침해대응총괄국 등이 있다. 민생금융과 보험 부문이 민원이 가장 많이 발생해 묶었을 때 시너지가 난다는 판단에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