엑시노스 2500. 사진=삼성전자 뉴스룸
내년 초 출시되는 삼성전자 갤럭시 S26 시리즈에 자체 개발한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 ‘엑시노스 2600’이 탑재된다. 스마트폰의 ‘두뇌’ 역할을 하는 핵심 부품으로, 엑시노스의 복귀는 기술 자립과 수익성 개선을 동시에 노린 결정으로 평가된다.
20일 전자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갤럭시 S26의 양산에 들어가며 엑시노스 2600 탑재를 확정했다. 미국과 일본, 중국에는 퀄컴 칩셋이, 한국과 유럽에는 엑시노스가 각각 탑재된다. 전체 비중은 약 50% 수준으로 알려졌다.
엑시노스 2600은 갤럭시 S26 기본형과 플러스 모델에 들어가며, 최상위 모델인 울트라에도 적용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린다. 삼성은 2010년 갤럭시 S1부터 자체 칩을 사용했지만, 2016년 이후 퀄컴 의존도를 높여왔다. S23(2023년)과 S25(2025년) 시리즈에는 엑시노스가 빠졌다.
이번 복귀는 칩셋 성능과 생산 수율이 크게 개선된 덕분이다. 엑시노스 2600은 삼성 파운드리의 최신 2나노미터(㎚) 공정으로 생산되며, 내부 테스트에서 신경처리장치(NPU) 성능이 애플 A19 프로 대비 6배 이상, CPU 멀티코어 성능은 14%, GPU는 75% 높게 측정됐다. 퀄컴의 최신 스냅드래곤 8 엘리트 5세대 칩셋과 비교해도 NPU 30%, GPU 29% 앞선다.
삼성은 특히 이번 제품을 개발하면서 AI 성능 향상에 집중했다. 업계 관계자는 “삼성은 AI폰 시대의 경쟁력을 칩셋에서 확보하려는 전략을 택했다”며 “애플보다 먼저 AI 기능을 완성한 강점을 확실히 살릴 것”이라고 말했다.
엑시노스 탑재 확대는 삼성의 반도체 부문에도 긍정적 영향을 줄 전망이다. 적자에 시달리던 파운드리와 시스템LSI 사업부는 엑시노스 양산 효과로 4분기부터 손실 폭이 줄어들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상반기 각 2조 원대 적자를 기록한 두 사업부는 3분기 적자를 1조 원대로 줄인 것으로 알려졌다.
삼성은 지난해 10조9326억 원, 올해 상반기 7조7899억 원을 AP 구매에 지출했다. 엑시노스 비중이 늘면 퀄컴 의존도가 낮아지고, 스마트폰 사업부의 원가 절감 효과도 기대된다.
업계는 “엑시노스 2600의 성공 여부가 삼성의 시스템 반도체 턴어라운드를 가속할 분수령이 될 것”이라며 “AI·모바일·반도체 3대 축의 선순환 구조가 본격화할 가능성이 크다”고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