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이 러시아와의 외교적 대화 가능성을 열어두고, 우크라이나 전쟁에 대한 입장을 조정하면서 유럽과 우크라이나 내부에서 불만이 커지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최근 백악관 기자회견에서 “푸틴 대통령과의 헝가리 회담이 헛되이 끝나지 않길 바란다”며 “생산적인 결과가 있을 때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시간을 낭비하고 싶지 않다”고 말하며, 회담의 성격이 단순한 외교 행보가 아니라 실질적 협상으로 이어질 수 있음을 시사했다.
그러나 유럽 각국은 이 같은 움직임에 불안감을 표하고 있다. 미국이 우크라이나에 대한 군사·정보 지원을 일부 축소하거나 보류하고, 러시아와의 직접 협상 가능성을 언급하면서 “워싱턴이 러시아의 손을 들어주는 것 아니냐”는 우려가 제기된 것이다. 유럽 내 일부 외교관은 “이러한 기류는 NATO의 일체감에 금이 갈 수 있다”고 경고했다.
러시아 측은 오히려 이를 긍정적인 신호로 받아들이는 분위기다. 세르게이 라브로프 러시아 외무장관은 최근 기자회견에서 “일부 유럽 국가들이 ‘즉각적 휴전’을 주장하지만, 이는 러시아에 대한 전략적 패배 노선을 포기한 뒤 무기 재공급을 위한 시간 벌기일 뿐”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그들이 말하는 휴전은 전쟁을 끝내려는 것이 아니라, 우크라이나가 다시 공격할 기회를 주는 것”이라며 “우리는 이 속셈을 알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미국 내 일부 분석가들은 트럼프 행정부의 노선 변화가 우크라이나 지원 피로감과 대선 이후 국내 우선주의 기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고 있다. 유럽과 우크라이나는 미국의 이런 방향 전환이 러시아의 외교적 입지를 강화시키고, 전황을 불리하게 만들 수 있다고 우려한다.
결국 워싱턴–모스크바 간의 접근은 유럽과 우크라이나 모두에게 ‘불안한 휴전의 그림자’로 다가오고 있다.
향후 트럼프-푸틴 회담이 실제로 성사될 경우, 그 결과는 단순한 외교 이벤트를 넘어 우크라이나 전쟁의 향방과 서방 동맹의 균열 여부를 가를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