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자취 감춘 ‘조개의 여왕’ 되살린다 - 도 수산자원연구소, 2019년까지 ‘생산기술 개발’ 사업 추진 김흥식 본부장
  • 기사등록 2017-07-06 09:07:07
기사수정


▲ 백합 조개

충남도가 1970년대부터 충남 서해에서 만나기 어려워진 백합을 되살리기 위한 작업에 착수했다.

 

도 수산자원연구소(소장 성낙천)는 이달부터 오는 2019년까지 서해안 말백합 생산기술 개발사업을 추진한다고 6일 밝혔다.

 

백합은 조갯살이 많고 맛이 뛰어난 고급 품종으로, ‘패류의 왕인 전복에 대비되며 조개의 여왕으로 불리고 있다.

 

특히 백합 소매가는 112000원 안팎으로 시장 경쟁력도 높은 것으로 평가받고 있다.

 

주요 서식지는 강 하구나 내만 등 비교적 염분이 낮은 모래펄의 간석지이며, 서식 수온은 1828, 산란기는 69, 주 산란기는 7월 중순이다.

 

백합은 그동안 전북 새만금 지역을 비롯, 인천과 경기, 충남 일부 지역에서 어업인 소득원으로 각광을 받았으나, 1970년대 질병과 1980년대 새만금 간척 사업으로 생산량이 급감했다.

 

이번 사업은 백합 모패 1910과 종패1060을 인천 강화 볼음도에서 구입, 시험어장인 태안 남해포(용신·안기·진산)에 살포해 최적의 서식 환경을 살피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도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고급 패류에 속하는 백합을 충남 서해 특산 품종으로 육성하기 위해 생산기술을 확립, 과거 생산량을 회복하고, 충남 대표 해산물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4610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러시아는 본격 침공 기간 동안 13만건에 가까운 전쟁범죄를 저질렀다
  •  기사 이미지 미국, 대북 ‘국가비상사태’ 연장…
  •  기사 이미지 말도등대 탐방 행사 안전성 논란 종결, 박경태 군산 시의원 시민 안전 최우선 강조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