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감염 주의 당부 - 울산지역 올해 환자 첫 발생 … 예방수칙 철저 준수 - 농작업 및 야외활동 시 긴옷 착용, 외출 후 목욕하기 - 야외활동 후 2주 내 고열, 구토 등의 발생 시 진료 받기 등 주정비
  • 기사등록 2017-07-24 16:22:47
기사수정




울산시는 올해 처음으로 울산에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 환자가 발생함에 따라 야외 활동 시 긴 옷 착용 등 예방 수칙을 철저히 준수할 것을 당부했다.


울산시에 따르면 7월 20일 울주군 범서읍에 거주하는 86세 여성이 고열, 복통 등으로 울산대학교병원에서 입원 치료 중, 울산보건환경연구원 확인 검사 결과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SFTS)으로 확진됐다.


이 환자는 거주지 인근에서 밭농사 작업을 하던 중 어깨 부위에 진드기에 물린 것으로 확인됐다.


2017년 전국적으로는 63명의 환자가 확인되었으며 울산 관내는 2015년 2명 발생 이후 첫 환자이다.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은 주로 4 ~ 11월에 SFTS 바이러스를 보유한 참진드기(주로작은소피참진드기)에 물린 후 고열,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을 나타내는 바이러스 감염병으로 치사율이 30%에 달한다.


SFTS는 치료제나 백신이 없으므로, 진드기가 활동을 시작하는 4월부터 농작업, 성묘·벌초나 등산 시 진드기에 물리지 않도록 예방하는 것이 최선이다.


특히, SFTS 감염자 중에는 50대 이상의 농업 및 임업 종사자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알려졌으며, 도․농 복합지역인 울산은 농촌지역 고연령층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만약 진드기에 물린 것이 확인될 경우 무리하게 진드기를 제거하지 말고 의료기관을 방문해 진료를 받는 것이 좋다.


또한, 야외 활동 후 2주 이내에 고열(38~40도), 소화기증상(오심, 구토, 설사 등)이 있을 경우 즉시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구․군 보건소를 통해 진드기 매개질환 예방수칙 및 주의사항을 지역 주민 대상 예방 교육․홍보를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47415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스미싱 범죄 ‘시티즌코난’, ‘피싱아이즈’ 앱 설치로 예방하자!
  •  기사 이미지 ‘오물 풍선’ 살포에 北 주민들 “창피스러워”
  •  기사 이미지 스미싱! 예방 앱 설치로 막을 수 있습니다.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