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충남 수출 역대 최단기간 500억$ 근접 - 8월말 기준 499억 9300달러 수출…전년대비 20.6% 증가 - 하반기엔 수출위험 요소 대비 해외마케팅 총력 지원 추진 김흥식 본부장
  • 기사등록 2017-09-28 08:45:43
기사수정


미국과 중국을 중심으로 하는 세계적인 보호무역주의 강화에 조치에도 지난 8월말 기준 충남 지역의 수출이 500억 달러에 근접하며 8월 기준 역대 통계상 최대치를 기록됐다.

 

20178월 충남 수출입 동향 분석 자료에 따르면, 충남 지역의 8월말 기준 총 수출액은 4999300만 달러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4144700만 달러)에 비해서는 20.6% 증가한 수치로, 9월 초에는 수출 500억 달러를 달성, 역대 통계상 최단기간 내 수출 500억 달러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

 

같은 기간 도내 총 수입액은 197900만 달러로 전년(1367500만 달러) 동기대비 44.1%(603400만 달러) 증가했다.

 

이로써 올해 8월말까지 충남지역의 무역수지는 3028400만 달러 흑자를 기록, 전년 동기(2777200만 달러 흑자)보다 251200만 달러가 증가했다.

 

올 충남 수출액1(24.5%)부터 꾸준히 두 자릿수 수출증가율을 보이다 7(8.2%) 들어 한 자릿수로 잠시 하락한 후 8(14.9%) 들어 다시 두 자릿수 증가율을 회복한 것으로 분석됐다.

 

올해 충남 지역은 수출액에서 전국의 13.3%, 교역액에서 10.1%를 점유했고, 수출 순위도 경기에 이어 전국 2위를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올 8월말까지 충남 수출의 가장 큰 성과는 정보통신기술로, 경기호조로 인한 단가상승의 영향으로 2132500만 달러 규모를 수출, 최대 실적을 기록했다.

 

유가영향을 받는 석유제품·석유화학제품도 전년(4255000만 달러) 동기대비 31.5% 증가한 559500만 달러를 수출했다.

 

큰 폭의 수출증가율을 보인 품목은 반도체(85.7%) 석유제품(45.1%) 기초유분(89.5%) 건전지및축전지(208.4%) 등으로, 이들 품목은 아세안 지역을 중심으로 급성장, 충남 지역 제2의 수출 주력품목으로 자리 잡았다.

 

반도체 : 베트남(124.2%), 대만(111.6%), 홍콩(94.9%), 중국(48.0%) 증가

기초유분 : 인도(260.7%), 필리핀(224.5%), 대만(223.3%), 중국(66.9%) 증가

건전지및축전지 : 말레이시아(597.8%), 베트남(341.0%), 중국(259.9%) 증가

 

지역별 수출로는 그간 도가 다양한 해외마케팅 지원을 통해 역점 추진해 온 수출시장 다변화 혁신 성과가 빛났다.

 

충남 지역의 8월말 기준 뉴질랜드(166.3%) 네덜란드(79.5%) 브라질(99.6%) 등으로 수출을 크게 늘리며 기존 선진국 중심에서 중남미 지역 등으로의 수출저변을 확장했다.

 

네덜란드 : 석유제품(113.5%)컴퓨터(30.5%)플라스틱제품(43.7%) 증가

뉴질랜드 : 컴퓨터(8,230.5%)석유제품(208.3%)합성수지(23.3%) 증가

브라질 : 반도체(199.5%)플라스틱제품(93.7%)자동차부품(70.4%) 증가

 

반면, 중국 사드여파 영향으로 4(186800만 달러)부터 전년 동월 대비 2.3% 수출 감소세를 보였으며, 8(186200만 달러)수출도 전년 동월대비 10.3% 감소한 것으로 분석됐다.

 

중국 수출액(백만$) : ‘17.1(1,922), 3(2,070), 4(1,868), 5(1,842), 7(1,720), 8(1,862)

중국 수출증감율(%) : ‘17.1(2.3), 3(0.4), 4(2.3), 5(6.6), 7(15.3), 8(10.3)

 

품목별로는 신형 스마트폰 출시 대비 메모리 수요증가 등으로 반도체 수출이 8월말까지 421200만 달러를 기록, 충남의 대 중국 전체 수출(1506300만 달러)을 이끌었다.

 

이동순 도 기업통상교류과장은 하반기에도 글로벌 보호무역 주의 심화, 환율변동성 확대 등 잠재되어 있는 수출환경 리스크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전략적 수출지원을 통해 충남 수출품목·시장을 다변화 하는 등 수출구조 혁신 성공을 위해 해외마케팅 지원에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52311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서울시지체장애인협회 종로구지회 2024년 문화체험 나들이
  •  기사 이미지 세종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원은 어디일까?
  •  기사 이미지 나도제비난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