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경기도민 1인당 공공체육시설 2.06㎡···여주와 군포 58배 차 - 경기도,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및 이용활성화 보고서 김명석
  • 기사등록 2017-12-07 15:13:57
기사수정





경기도민 1인당 평균 공공체육시설 면적이 지역에 따라 최대 58배 이상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7일 경기도의 '공공체육시설 균형배치 및 이용활성화'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말 현재 공원, 약수터 등의 간이체육시설을 포함해 도내 체육시설은 3954개다.


 수원이 329개로 가장 많았고 고양 316개, 부천 307개, 용인 295개, 성남 269개, 의정부 249개 등의 순이다.


 1인당 평균 공공체육시설 면적은 2.06㎡였다.


 여주가 9.99㎡고 가장 컸고 하남 9.11㎡, 가평 8.88㎡, 과천 8.50㎡, 연천 8.03㎡ 등이었다.


 반대로 군포시는 1인당 면적이 0.17㎡에 불과했다. 1㎡ 미만인 지역은 군포를 포함해 광명, 남양주, 안양, 의정부, 평택 등 6곳이었다.


 민간체육시설 1만4152곳을 포함하면 1인당 평균 체육시설 면적은 4.05㎡다.


 농구, 배구, 배드민턴 등 다양한 체육활동을 할 수 있는 생활체육관도 턱없이 부족하다.


 도민 508만명은 반경 2㎞ 이내에 생활체육관이 없는 곳에 거주하고 있다. 특히 양평은 이런 면적이 830㎢에 달했다.


 반경 5㎞ 이내에 수영장이 없는 곳에도 186만명이 살고 있다. 수영장의 경우, 1곳당 평균 이용인구가 13만1000명에 달했다.


 장애인체육시설 확충도 필요하다는 지적을 받았다. 지난해 말 현재 도내 공공체육시설 1279곳 중 장애인형 공공체육시설은 12곳에 불과했다. 도내 장애체육인선수와 장애인은 각각 2036명, 52만명이다. 


도는 민간체육시설을 포함, 오는 2022년까지 1인당 체육시설 공급면적을 5.73㎡까지 늘리기로 했다. 


 주민밀착형 생활체육시설을 계속 공급하고 수영장과 체육관 등 공공인프라를 확충하기로 했다. 전체 체육시설의 32.8%인 10년 이상 노후시설도 리모델링을 검토하기로 했다. 


 체육시설 공간을 공유하는 데스크 베드(Test Bed) 시범연구, BF(Barrier Free·무장애) 생활환경 조성, 장애나 연령 관계없는 안전한 활동 설계 디자인 등을 추진한다. 


 학교운동장 등 학교체육시설 개방을 위한 법령 개정을 건의하는 한편 장애인 생활체육 지원, 스포츠 복지 강화를 맡을 경기도 장애인어울림스포트센터 건립 방안도 모색한다. 


 최계동 경기도문화체육관광국장은 "향후 공공체육시설 건립 사업 선정 시 이번 보고서를 활용해 시·군별 공공체육시설을 균형적으로 배치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56843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우크라이나 스칼프 미사일 러시아 연방을 공격, 프랑스서 허용
  •  기사 이미지 북한 “‘오물풍선’ 1천여 개…살포 중단한다"
  •  기사 이미지 박경귀 아산시장 “스웨덴식 평생학습 체계, 아산에 접목하겠다”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