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자 아이스하키 남북 단일팀이 2018 평창동계올림픽 전 경기를 마쳤다.
새러 머리(30ㆍ캐나다) 감독이 이끄는 단일팀은 20일 강원도 강릉 관동하키센터에서 열린 스웨덴과의 7∼8위 결정전에서 1대 6으로 패해 최종 경기를 마쳤다. 이로써 단일팀은 5전 전패로 평창동계올림픽을 마감했다.
이날 경기에서 단일팀은 지난 14일 일본과의 경기에서 얻은 첫 득점 이후 두번째 골을 기록하면서 유종의 미를 거뒀다. 0-1로 뒤진 1피리어드 6분 21초에 터진 한수진이 동점 골을 터트려 균형을 맞췄다. 일본전에서 나온 랜디 희수 그리핀의 역사적인 올림픽 첫 골에 이은 단일팀의 두 번째 골이었다.
스포츠에 정치적 결단이라는 논란 속에 이뤄진 단일팀 구성은 분단 국가의 뜨거운 감자였으나 올림픽이 시작되면서 논란은 잠잠해졌다.
조직력도 날이 갈수록 좋아졌다. 좋아진 조직력을 바탕으로 공격적인 전술도 구사했던 단일팀이었다. 단일팀은 약속된 패턴 플레이로 득점까지 성공했다. 박종아가 비하인드 네트 플레이로 사이드의 한수진에게 연결, 한수진이 그대로 스웨덴 골망을 향해 퍽을 밀어 넣으며 득점에 성공했다.
지난 14일 일본과의 경기에서 랜디 희수 그리핀의 역사적인 첫 번째 골 이후 터진 단일팀 두 번째 골이었다. 더군다나 약속된 조직적인 플레이에서 비롯된 골이기에 그 기쁨은 더했다. 선수들은 서로를 얼싸안고 기쁨을 나눴다.
토마스 바흐 국제올림픽위원회(IOC) 위원장도 "남북 단일팀은 평화의 메시지를 전파했다"며 "이것이야말로 올림픽 정신"이라고 높이 평가했다. 엔젤라 루제로 IOC 위원은 “단일팀을 노벨평화상 후보로 추천해야 한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하기도 했다.
울주군치매안심센터, 2025년 하반기 치매지역사회협의체 회의 개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치매안심센터가 지난 17일 지역사회 치매 및 고위험군 관리 강화를 위해 2025년 하반기 치매지역사회협의체 회의를 개최했다. 이번 회의에서는 내년 치매지원사업 변경사항 및 신규사업 추진계획을 공유하고, 기관 간 협력 방안을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참여기관은 △국민건강보험공단 울주지사 △서·남..
상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취약계층 어르신 방한용품 지원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상북면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신용석, 정상화)가 겨울철 혹한기를 대비해 18일 지역 취약계층 어르신을 위한 ‘희망보따리 겨울 방한용품 지원사업’을 실시했다. 이날 위원들은 취약계층 어르신 가구 31세대를 직접 방문해 총 400만원 상당의 전기매트를 직접 전달하고 안부를 확인했다. 정상화.
청량읍 주민자치위원회, 하반기 환경정화활동 실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청량읍 주민자치위원회(위원장 서억수)가 18일 청량천 일대에서 지역 환경 보호를 위한 환경정화활동을 실시했다. 이번 활동은 청량천을 더욱 깨끗하고 쾌적한 공간으로 조성하고, 자연경관 보전의 중요성을 알리기 위해 마련됐다. 이날 주민자치위원 25명이 참여해 쓰레기를 수거하고, 주변...
청량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 지역아동센터 케이크 만들기 체험활동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주군 청량읍 지역사회보장협의체(공동위원장 김연희, 이종남)가 18일 지역아동센터 이용 아동과 함께 케이크 만들기 체험활동을 실시했다.이번 사업은 평소 다양한 문화·체험 기회를 접하기 어려운 취약계층 아동에게 자신만의 케이크를 직접 만드는 경험을 제공하고 세대 간 유대감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
울주군, 도급·용역·위탁사업 담당자 안전보건교육 실시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산 울주군이 중대재해 예방과 조직 역량 강화를 위해 18일 문수홀에서 도급·용역·위탁사업 담당자 100여명을 대상으로 안전보건 확보 의무 이행 관련 교육을 실시했다.이번 교육은 중대재해처벌법 시행에 따라 사업 추진 과정에서 발행할 수 있는 중대산업재해를 예방하고 담당 공무원 안전관리 관리 역량..
울주지역자활센터, ‘미니룸사업단’ 본격 출범
▲사진제공:울주군청 울산울주지역자활센터가 울주군 대표 특산물인 서생배로 디저트를 만드는 ‘미니룸사업단’을 본격 출범한다고 18일 밝혔다. 센터는 이날 이순걸 울주군수를 비롯해 울주지역자활센터장 및 자활근로사업 참여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신규사업 ‘미니룸사업단’ 개소식을 가졌다. 울산울주지역자활센터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