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北신문, 백두산 천지 호숫가에서 조선 초기 제단유적 발굴 김태구
  • 기사등록 2018-09-04 14:07:59
기사수정



백두산 천지 호숫가 향도봉 소분지에서 조선왕조 시대 제단 유적이 발굴됐다.


토일뉴스에 따르면 <노동신문>은 2일 "김일성종합대학 역사학부와 백두산천지 종합탐험대, 삼지연혁명사적관의 학술연구집단이 백두산 천지호반에 대한 조사사업을 심화시키는 과정에 조선 봉건왕조시기의 제단 유적을 발굴하였다"고 보도했다.


신문은 새로 발굴된 조선왕조 시대 제단은 천지 호숫가 향도봉 소분지에 자리잡고 있으며, 그 형태를 보면 밑면은 길이와 너비가 각각 36m정도인 4각형에 가깝고 웃(윗)면은 길이 15m, 너비 12m정도이며 높이가 9m정도"라고 알렸다. 


신문에 따르면, 제단 유적에서는 2개의 금석문도 발굴됐다. 


그중 하나는 길이 140cm, 너비 80cm정도의 돌위에 20여자의 글이, 또 하나는 길이 26cm, 너비 20cm 크기의 납작한 돌판 위에 먹으로 씌여진 20여자의 글자가 있으며, 각각 "조선봉건 왕조 초기에 이곳에서 힘을 비는 제를 지냈다"는 내용과 "하늘과 땅에 공주의 안녕을 비는 제사를 진행하였다"는 내용이 들어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신문은 이번 조사발굴과 연구사업을 통해 백두산의 역사를 더욱 깊이 해명하는데 중요한 의의를 가진다고 하면서, "우선 우리 선조들이 먼 옛날에 벌써 백두산에 제단을 설치하고 제사를 진행하였다는 물질적 증거를 찾아냄으로써 조선민족이 역사적으로 백두산을 조종의 산, 민족의 성산으로 여겨왔다는 것을 더욱 명백히 논증할 수 있게 되었"으며, "우리 민족이 예로부터 백두산을 얼마나 높이 숭상하였는가를 다시금 뚜렷이 증명할 수 있게 되었다"고 밝혔다.


또 "우리 민족이 조종의 산을 높이 숭상하였다는 것은 여러가지 역사기록들과 이미 오래전에 알려진 '용신비각', '종덕사'와 같은 유적을 통하여 잘 인식되어 있지만 백두산에 올라와 제단을 설치하고 제사를 진행하였다는 사실이 밝혀지기는 이번이 처음"이라고 말했다.

0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73627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미국 조종사들 "우크라이나에서 F-16을 비행할 준비가 되어 있어"
  •  기사 이미지 우크라이나 전역 공습 경보 확산...적 미사일 곧 국경을 넘을 예정
  •  기사 이미지 청양경찰서, 플래시몹 순찰, ‘우리 순찰해요’ 실시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