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사 메일전송
여수시, 벼 해충 ‘먹노린재’ 적기방제 당부 김용훈 기자
  • 기사등록 2019-06-25 14:23:14
기사수정


벼 이삭에 붙어있는 먹노린재


본논 조사결과 발생밀도 높아6월 하순~7월 상순 총력방제 주문

 

여수시(시장 권오봉)는 벼 수량과 품질을 크게 떨어뜨리는 먹노린재의 본논 발생밀도가 높다며 적기에 방제해 줄 것을 당부했다.

 

먹노린재는 월동해충으로 논 인근 야산 등에서 성충으로 월동하다 6월 상순경부터 논으로 이동하여 벼의 줄기와 이삭을 흡즙해 수확기까지 피해를 주는 해충이다.

 

시는 지난 13일부터 21일까지 먹노린재 본논 이동 및 발생상황을 조사했다. 그 결과 친환경단지는 평균 140.7마리(최고 248, 최저 35)로 발생량이 많았고, 일반단지는 87.7마리(최고 136, 최저 45)로 발생량이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올해도 먹노린재 발생이 많아 피해가 예상된다면서 6월 하순 ~ 7월 상순에 집중방제에 나서 줄 것을 주문했다.

일반단지는 약제 살포효과가 높으므로 적기에 방제하고, 친환경단지는 발생이 많은 논은 약제(유기농업자재)를 바꾸어가며 2~3회 방제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시 관계자는 먹노린재는 논두렁 잡초속, 남은 모판속, 벼 포기속, 논물속으로 숨는 습성이 있고, 산란하면 개체밀도가 급격히 증가해 많은 피해가 나온다방제 전에는 논물을 완전히 빼고, 1차 방제 시 논두렁과 논 가장자리 1~5열을 중점적으로 방제해야 효과가 높다고 말했다.



1
기사수정

다른 곳에 퍼가실 때는 아래 고유 링크 주소를 출처로 사용해주세요.

http://www.news21tongsin.co.kr/news/view.php?idx=97092
기자프로필
프로필이미지
나도 한마디
※ 로그인 후 의견을 등록하시면, 자신의 의견을 관리하실 수 있습니다. 0/1000
  •  기사 이미지 서울시지체장애인협회 종로구지회 2024년 문화체험 나들이
  •  기사 이미지 세종에서 가장 아름다운 정원은 어디일까?
  •  기사 이미지 나도제비난
펜션
모바일 버전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