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스라엘로 향하는 트럼프 대통령 (사진=백악관 SNS 캡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2일(현지시간) 미중 무역 갈등이 다시 고조되는 상황에서 “미국은 중국을 해치려는 게 아니라 도우려는 것”이라고 발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중국에 대해 걱정하지 말라. 모든 것이 잘될 것”이라며 “매우 존경받는 시(시진핑) 주석이 잠시 어려운 시기를 겪고 있을 뿐”이라고 밝혔다.
이어 “그는 자기 나라가 불황을 겪는 것을 원하지 않고, 나 역시 마찬가지”라고 말해 일단은 유화적인 태도를 취했다. 그러나 이 발언은 단순한 온정이 아니라,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고집할 경우 미국이 상응 조치를 이어갈 것이라는 경고로도 해석된다.
앞서 중국이 희토류 수출 통제를 강화하자,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0일 “내달 1일부터 중국산 제품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발표했다.양국은 지난 4월 서로 100%가 넘는 초고율 관세를 주고받으며 ‘관세 전쟁’을 벌이다가 이후 협상 국면에 들어섰지만, 다시 긴장이 높아지는 모양새다.
사진=트럼프 대통령 트루스 소셜 캡쳐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이스라엘로 향하는 에어포스원(대통령 전용기) 안에서도 기자들에게 “우리는 중국과 잘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며 “시 주석은 매우 강인하고 똑똑한, 훌륭한 지도자”라고 말했다.
하지만 ‘11월 1일부터 관세를 실제로 부과하겠느냐’는 질문에는 “지금은 그렇다. 하지만 어떻게 될지 보자”며 여지를 남겼다.
그는 “11월 1일은 나에게 아주 먼 미래처럼 느껴진다”며 “그때까지 많은 일이 있을 수 있다”고 말해, 협상 가능성을 시사했다.
이는 겉으로는 시 주석을 치켜세우며 대화 여지를 남기되, 실제로는 중국 경제의 불안정성을 압박하는 트럼프식 ‘말과 행동의 이중전략’으로 풀이된다.
전문가들은 이번 발언을 두고 “트럼프가 재집권 이후에도 대중 강경 기조를 유지하면서, 협상 카드로 활용하려는 전형적인 ‘협박 외교’”라고 분석한다.
미중 양국의 고율 관세와 희토류 제재가 맞물리면서, 세계 공급망 불안이 다시 커질 수 있다는 우려도 커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