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캄보디아는 동남아 온라인 범죄의 새로운 거점으로 떠올랐다. (사진=KBS뉴스영상캡쳐)
캄보디아에서 한국인 대학생이 납치·고문 끝에 숨진 채 발견된 사건을 계기로, 한국 정부가 현지 대응체계를 강화하고 있으나 이미 적극적 구출 작전을 벌인 인도·말레이시아 등에 비해 한발 늦은 대응이라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최근 캄보디아는 동남아 온라인 범죄의 새로운 거점으로 떠올랐다. 미얀마·태국 접경 ‘골든 트라이앵글’ 지역 단속이 강화되자 범죄조직들이 캄보디아로 이동해, 고임금 구인광고로 아시아 각국 청년들을 유인한 뒤 감금·폭행하며 불법 온라인 사기나 도박사이트 운영에 강제로 동원하고 있다.
이 가운데 말레이시아 정부는 2022년 자국민 100여 명이 캄보디아 인신매매 조직에 붙잡히자, 현지 경찰과 합동 작전을 벌여 피해자들을 직접 구조했다. 인도 정부 역시 2024년 한 해 동안 770명의 자국민을 구출했으며, 최근 3년간 총 1000명에 달하는 피해자를 송환했다. 대사관과 내무부 인력이 직접 수색과 확보 작업에 나섰다는 점에서 신속하고 적극적인 대응으로 평가된다.
반면 한국 정부는 이번 대학생 피살 사건 이후에야 ‘코리안 데스크(Korean Desk)’ 설치 등 현지 공조 체계 강화를 추진 중이다. 그러나 여전히 정부 주도의 구출 작전이나 구조 인력 투입 체계는 부재한 상황이다.
외교 소식통은 “현재 대응은 사건 이후의 수습 단계에 머물러 있다”며 “캄보디아 내 감금·착취 피해자가 적지 않은 만큼, 정부 차원의 사전 탐지와 구출 시스템 마련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