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네이버 db 갈무리
[뉴스21 통신=추현욱 ]외교부가 지난해부터 올해 8월까지 캄보디아 내 한국인 실종 신고는 총 550명이며, 이 가운데 80여명의 안전이 아직 확인되지 않았다고 밝혔다. 외교부는 조만간 캄보디아 여행경보를 추가로 격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14일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브리핑에서 캄보디아 내 실종·감금 피해 신고 접수는 지난해 220명, 올해는 330명(8월 기준)으로 집계됐으며, 이중 80여명의 피해 신고는 아직 확인 중이라고 밝혔다. 이날 발표된 캄보디아 내 실종신고 건수는 외교부에 접수된 신고를 기준으로 한 것으로, 경찰이 파악한 것과 중복될 수 있어 교차 검증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앞서 경찰은 지난해부터 캄보디아 실종·감금 신고가 143건이며 52건이 미제라고 밝힌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2024년 신고가 접수된 건 중 95%는 종결처리됐고, 올해는 80%가 종결처리됐다”며 “종결처리됐다는 건 현지 경찰 체포, 구조 후 추방, 자력으로 탈출, 신고 이후 귀국, 가족이나 지인과 연락 재개 등 이들의 안전이 확인된 경우를 말한다”고 말했다.
외교부는 캄보디아 구치소에 수감된 60여명에 대한 송환도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외교부 당국자는 “지난 7월과 9월 캄보디아 쪽 단속에 따라 총 90명이 온라인 스캠 현장에서 검거됐다. 이 가운데 일부는 한국으로 귀국하고 있어 (구치소에 있는) 숫자는 60여명으로 줄고 있다”며 “국내로 이분들의 신속한 송환이 이뤄질 수 있도록 경찰 측과 긴밀히 협의 중”이라고 말했다.
외교부는 김진아 2차관을 단장으로 경찰청, 국정원 등이 참여하는 정부 합동 대응팀을 캄보디아로 파견하기로 했다. 또 조만간 캄보디아에 대한 여행경보를 격상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 앞서 외교부는 지난 11일 프놈펜의 여행경보를 기존 2단계(여행자제)에서 2.5단계(특별여행주의보)로 격상한 바 있다.
외교부 당국자는 “피해자에 대한 영사조력을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가담자를 추적해 국내 처벌로 이뤄질 수 있도록 하면서 해외취업 광고도 면밀히 모니터링하겠다”고 말했다. 또 “영사 인력, 예산을 확충하기 위해 관계부처와도 노력 중”이라고 덧붙였다.